20여일 앞으로 다가온 4월 총선의 최대 쟁점은 역시 경제 문제다. 여야는 공천 문제 등으로 내홍을 겪고 있지만 그런 가운데서도 우리 경제의 현실과 과제를 놓고 공방을 벌이고 있다. 야권에서 제기하는 '정권 심판론'과 여당의 '야당 심판론'도 핵심은 경제 문제다. 여야의 '경제우선 전략'은 여야가 모두 경제통을 당의 간판이나 주요 인물로 내세운 데서부터 드러난다. 더불어민주당은 김종인 대표를 영입해 당의 리더십을 정비하는 것과 함께 경제정당으로서의 면모를 부각시키려 하고 있다. 새누리당은 경제관료 출신인 강봉균 전 재정경제부장관을 선거대책위원장으로 영입하기로 확정, 그에 맞서고 있다. 지난달에 나온 여야의 주요공약에서도 경제 문제가 앞자리에 배치돼 있다. 특히 여야 모두 '일자리 정책'을 앞세우고 있는 것에서도 일치한다. 흔히 선거는 경제를 멈추게 하는 것으로 얘기된다. 그만큼 과거 대통령선거나 총선거는 다른 모든 사안들을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되곤 했다. 그러나 선거는 우리 사회의 현실과 진로에 대해 진단하고 이를 어떻게 풀어갈 것인지에 대해 백가쟁명의 논의가 분출하는 역동적인 시간이다. 정당들은 나라와 사회를 어떻게 이끌어갈 것인지를 제시하고 유권자들은 그에 대해 찬반의 지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자신의 미래를 결정하는 권한과 책임을 행사한다. 그런 점에서 국민과 정치권 모두에게 4ㆍ13선거가 큰 어려움에 처해 있는 경제에 대해 좀 더 생산적인 모색과 논의를 해 보는 기회가 되길 바란다. 정당들은 좀 더 깊은 고민을 담은 경제 정책과 방안들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실현 가능성이 거의 없는 공약과 재원을 마련할 수 없는 선심성 사업을 남발하는 것은 책임 있는 정당의 모습이 아니다. 또 유권자들은 정치권의 행태가 못마땅하더라도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가 정치도 바꾸고 자신의 삶도 개선시킬 수 있다는 자세가 필요하다.여야 정당 및 후보자들과 유권자들이 새겨야 할 것은 총선은 지역에서 출발하면서도 지역을 넘어선 대표를 뽑는 선거라는 것이다. 선거운동은 일단 취업난에 신음하는 청년과 주거비ㆍ교육비 부담에 힘겨워하는 지역의 민생의 목소리를 생생히 듣고 주민들과 소통하는 장이 돼야 한다. 한편으로는 '총선'이라는 명칭에서도, 국회의원의 소명은 국가적 차원의 공무를 담임하는 데 있다는 점에서도 지역에만 갇히지 않는 총체적인 시야가 필요하다. 투표일까지 남아 있는 짧은 기간만이라도 국민경제를 어떻게 살릴 것인가에 대해 뜨겁게 토론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경제선거', '정책선거'가 되길 바란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