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동여담]우이령

류정민 사회부 차장

'우이령(소귀 고개)', 그곳을 찬찬히 걷다 보면 바람과 동행하고 있음을 느낀다. 아이와 노인도 편안하게 다닐 수 있을 정도로 길이 좋다. 서둘러 발걸음을 재촉할 필요도 없다. 숨을 헐떡이며 체력을 소진할 이유도 없다. 편안한 발걸음으로 한 발, 한 발 나아가면 그만이다. 바람의 흐름에 발맞춰 걷다 보면 가을 끝자락에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수북이 쌓인 낙엽, 앙상해져 가는 나뭇가지는 겨울이 다가오고 있음을 보여준다. 우이령은 경기도 양주 장흥면 교현리와 서울 강북구 우이동을 잇는 길이다. 우이령은 소의 귀를 닮은 '소귀 바위(牛耳岩)'가 있어 유래된 이름이다. 경기도 양주와 서울 강북구 사이는 북한산과 도봉산으로 막혀 있다. 그래서 한참을 돌아가야 하지만 우이령을 이용하면 훨씬 빨리 갈 수 있다.이전부터 경기도 북부 주민들이 서울을 오가는 길로 이용했다. 우이령은 한국전쟁 당시 미군 공병대에 의해 작전도로로 정비됐다. 지금은 산길이라기보다는 차량도 통행할 수 있을 정도의 비포장도로에 가깝다. 우이령은 무장공비 청와대 침투사건이 발생한 1968년 1월21일 이후 민간인 출입이 전면 금지됐다. 한동안 사람의 발걸음이 통제된 탓인지 그곳은 생명의 기운이 넘친다. 우이령은 샛길도 없다. 무분별한 발걸음에 자연이 훼손될 가능성이 적은 셈이다. 서울에 이만큼 자연 그대로를 보존하고 있는 곳도 찾기 어렵다. 우이령이 일반인에게 다시 개방된 것은 2009년 7월10일이다. 폐쇄된 지 무려 41년 만에 길이 열렸다. 자연환경 훼손에 대한 우려가 여전했지만, 탐방객 제한을 전제로 개방하기로 했다. 우이령의 매력이 알려지면서 그곳을 찾는 이들은 점점 늘어나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인터넷 예약을 통해 탐방할 수 있는데 하루 1000명으로 인원이 제한돼 있다. 우이령길은 '북한산 둘레길'의 한 구간(21구간)이기도 하다. 거리는 6.8㎞로 산책하는 기분으로 다녀올 수 있을 정도로 평탄하고 아름다운 길이다. 늦가을 단풍을 즐기려는 이들 때문에 주말 예약은 치열한 경쟁이 뒤따를 수 있다. 우이령은 자연과의 공존, 그 중요성을 보여주는 본보기다. 일반인 통제가 없었다면 우이령도 다른 북한산 등산로처럼 시름시름 앓았을 것이다. 정규 등산로 주변은 사람들로 넘쳐나고 이를 피하고자 여기저기 샛길을 내서 자연은 훼손되고 있다. 일정 기간 발걸음을 통제하고 자연이 숨을 쉬게 해주면 그 혜택은 인간에게 돌아온다. 바람과 동행하는 사색의 공간, 우이령의 아름다움이 그것을 증명하고 있다. 류정민 사회부 차장 jmryu@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류정민 차장 jmryu@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