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 시골 노인이나 당해? 천만의 말씀'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 국감 자료, 올해 피해자 중 2030세대 절반 넘어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금융 지식이 없고 어리숙한 시골 어르신들이나 당하는 줄 알았던 보이스피싱이 사실은 20~30대 젊은 세대들에게 잘 먹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화된 첨단 보이스피싱 수법에 오히려 인터넷에 익숙한 젊은이들이 타겟이 되고 있는 것이다. 청년 실업난에 따른 대출 빙자 사기사건이 급증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이래 저래 '젊은이'로서 이땅에서 살아가기 힘든 시대다.8일 조원진 새누리당 의원(국회 안전행정위원회)이 배포한 경찰청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올해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자의 절반 이상이 인터넷사용에 능숙한 2030세대인 것으로 나타났다.올해 3월부터 8월간 집계된 연령대별 보이스피싱 현황에서 20대의 피해건수가 1천428건(33.0%), 30대가 1055건(24.4%)으로 도합 전체의 57.4%를 차지했다.이는 지난 한 해 동안 발생한 20대(1438건, 18.8%)와 30대(10487건, 19.5%) 피해 규모에 비해 크게 증가한 수치다. 주로 가짜 공공기관 사이트로 유인해 개인정보나 금융거래 정보를 입력도록 하는 보이스피싱 수법은 인터넷에 익숙한 젊은 층이 타겟이 되기 쉬우며, 특히 취업난등으로 청년층의 대출수요가 늘면서 대출 빙자 사기수법에 피해를 보는 사례가 늘고있기 때문이라고 경찰은 분석하고 있다. 물론 보이스피싱 범죄 피해는 비단 젊은 층의 문제만은 아니다. 최근의 보이스피싱 범죄 발생 현황을 보면 2013년 4765건, 552억원이던 피해규모가 2014년 7635건, 973억원으로 늘었고, 올해도 상반기에만 5391건, 784억원의 피해가 발생하는 등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다. 이 기간 보이스피싱 범죄의 검거율은 발생건수 대비 약 77.8%다.조 의원은 "취업난 등으로 불안심리가 있는 청년층에 악질적인 보이스피싱 범죄가 집중돼 막중한 피해를 주고 있다"며 "보이스피싱 대처 매뉴얼, 신고센터 활성화 등의 체계적인 관리와 함께 기관 간 공조수사 및 협업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