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제조업, 사물인터넷 활용도 낮아…맞춤형 정책 필요'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국내 제조기업의 사물인터넷(IoT) 활용 및 준비가 미흡한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성장세가 둔화된 국내 제조업의 재부흥을 이끌 수 있는 방안임에도 초기 기술 비용 부담으로 준비를 꺼리고 있다는 것이다. 예산과 인센티브 확대 등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일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이 IoT 전문가 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결과에 따르면 우리 제조업과 IoT 융합 점수는 평균 48.3점을 기록해 미비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료 : 전경련)

회원사 제조기업 54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에서도 제조기업의 90% 이상이 필요성에는 공감했으나 활용도나 준비 정도는 낮았다. 응답 기업 중 IoT를 활용하는 기업은 5.6%에 불과했으며 활용할 계획이 있는 기업도 11%에 그쳤다. 응답기업들은 비즈니스모델 부족으로 인한 위험성(37%)과 센서 탑재, 플랫폼 구축 등의 기술적 초기 비용(27.8%)이 부담이 된다고 답했다. 정책적 건의사항으로는 기술지원(37%)과 자금지원(27.8%)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전경련은 정부의 IoT 관련 연구개발(R&D) 예산 확대와 더불어 IoT R&D 기획 단계에서 제조기업의 현장 수요가 반영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조세특례제한법에서 규정한 신성장동력기술에 IoT 기술을 채택하고 세액공제 등 관련 인센티브 확대를 촉구했다. 엄치성 국제본부장은 “"미국, 독일, 중국 등 주요국 모두 IoT를 제조업 경쟁력 제고의 주요 수단으로 지목하고 육성정책을 시행 중"이라며 "우리나라 역시 중요성에 공감하고 있으나 아직 활용도는 미비한 상황으로 융합을 촉진할 수 있는 맞춤형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혜민 기자 hmee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