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용성 퇴진…중앙대 개혁 동력 약해지나

[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대기업식 대학개혁'을 주도해온 박용성 중앙대학교 재단 이사장의 사퇴로 중앙대의 구조 개혁이 기로에 섰다. 박 이사장이 학교운영과 학과과정 등에 대한 전방위적 '군살빼기'와 '효율높이기'를 주도해왔는데 그의 사퇴 이후에도 여전히 개혁동력은 살아있을 것이란 지적이 많다.박 이사장은 '대기업식 대학 개혁'의 선봉장으로 통했다. 지난 2008년 취임 직후 "이름 빼고는 다 바꾸겠다"며 적극적으로 개혁에 나섰다. 교수를 4등급으로 평가하고 연봉을 정하는 '교수 성과급 연봉제'를 도입하는 등 기업 운영 방식을 도입했다. 특히 2010년과 2013년에는 일방적으로 학과 통폐합을 진행해 학생과 교수 등 학내구성원들과 큰 마찰을 빚었다.박 이사장의 사퇴 계기가 됐던 '막말'은 올해 초 중앙대가 추진한 학사구조 개편에서 터져나왔다. 중앙대는 내년부터 학과가 아닌 단과대학별로 신입생을 선발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학사구조 선진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대해 교수와 학생들은 인문학 등 취업률이 낮은 특정 학과 죽이기라며 비상대책위, 공동대책위 등을 구성해 강력하게 반발했다. 결국 중앙대는 정시모집에 한해 학사구조개편안을 도입하는 방향으로 수정안을 내놓아 학생과 교수가 이에 합의한 상태다.그런데 박 이사장은 지난달 24일 이용구 중앙대 총장과 보직교수 20여명에 학사구조 개편에 반대하는 교수들을 처벌하겠다는 내용을 담은 이메일을 보내며 막말을 쏟아냈다. 학사구조 개편에 반대하는 교수들에 대해 "목을 쳐줄 것"이라며 인사권을 언급하고, "'너희(교수들)가 투표에 참가하면 교칙을 위반한 것'이라는 공식 문서를 통보하라"고 직접 지시하기도 했다. 중앙대 의사 결정 과정에 박 이사장이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그대로 보여줬다.학교재단 이사장직에서 물러나며 그는 공식적으로 학교운영에서 손을 떼게 됐다. 하지만 개혁 동력이 약화되지 않을 것이란 관측이 많다. 김삼호 대학교육연구소 연구원은 박 이사장의 향후 중앙대 영향력 행사에 대해 "학내 역학관계를 고려해야 할 것"이라면서 두산그룹이 중앙대를 여전히 소유하고 있는 상황에서 충분히 의사 결정 과정에 개입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중앙대 관계자도 "학사 과정 관련 사안은 교무회의에서 결정되는 것인 만큼 (박 이사장의 사퇴가) 큰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한편 중앙대 교수들은 22일 오후 박 이사장의 사퇴에 대해 입장을 밝힐 예정이다.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