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닫는 폭로전…SKT 'KT, 방통위 조사 시점에 과도한 리베이트 살포'

SKT, KT 조사발표 시점에 과도한 리베이트 살포… 전형적 규제·노이즈 마케팅 자행 주장[아시아경제 이초희 기자]이동통신사가 유통점에 지급하는 과다장려금(리베이트) 논란이 점입가경으로 치닫고 있다. KT가 지난 주말 SK텔레콤의 과다 리베이트 문제를 제기한 데 이어 이번에는 SK텔레콤이 KT의 과다 리베이트 살포에 대해 정부에 조사를 촉구하고 나섰다. 방송통신위원회가 SK텔레콤에 대해 단독 조사에 나선 가운데 SK텔레콤이 공식적으로 문제를 제기함에 따라 KT에 대한 조사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22일 SK텔레콤은 입장자료를 통해 지난 18일과 20일 SK텔레콤이 시장과열을 촉발한다며 방통위의 제재를 연이어 촉구했던 KT가 방통위의 조사 방침이 발표된 21일 자사 유통망에 대해 과도한 리베이트를 살포하며 가입자 뺏기 본격화에 나섰다고 주장했다.SK텔레콤은 KT가 방통위의 SK텔레콤에 대한 조사 소식이 전해진 21일 오후 자사의 대리점 및 판매점 등 전체 유통망에 최대 55만원에 달하는 리베이트를 살포했다고 밝혔다. 이후 공식 판매망이 아닌 밴드 등 SNS, 폐쇄몰 등을 위주로 음성적인 페이백을 활용하며 현재까지도 가입자 유치를 지속하고 있다는 것이 SK텔레콤의 주장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KT는 그 동안 40만원이 넘는 리베이트가 페이백 등 불법 용도로 전용될 가능성을 제기하며, 경쟁사의 MNP 실적 증가를 리베이트 문제로 호도해 왔으나 21일부터 스스로 리베이트 수준을 대폭 올려 자기 모순에 빠진 영업행위를 자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이어 그는 "경쟁사의 영업행위에 대해 불법 논란을 부추긴 KT의 과도한 리베이트 살포는 앞에서는 경쟁사를 성토하면서 뒤로는 규제기관의 눈을 피해 불법 행위로 경쟁사의 가입자를 빼앗아 자사의 잇속을 챙기려는 행태"라고 지적했다.특히 KT의 이 같은 움직임은 방통위의 조사 이후 자사의 가입자를 증가시켜 SK텔레콤의 가입자 증가가 과도한 리베이트 때문이라는 상황을 조장하기 위한 행위라고 강도높게 비난했다.여기에 과도한 리베이트 살포에 더해 22일부터 주요 단말기 지원금을 상한선인 30만원까지 올려 계획적 번호이동 순증 만들기에 나섰다고 주장했다.최근 이통시장은 갤럭시노트3, 베가 시크릿노트 같은 15개월 경과 단말 등 단말재고가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KT는 지난해 말부터 1월 중순까지 이들 모델을 소진해 경쟁사 대비 단말 경쟁력 부족으로 시장 대응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KT의 행태는 규제기관의 눈을 흐려 조사의 정확성을 왜곡하려는 행위로 지탄받아 마땅하며, 방통위 시장조사 시행 시점에 벌인 KT의 과도한 리베이트 살포 역시 규제기관의 엄정한 조사 및 결과에 따른 강력한 처벌을 요구한다"고 촉구했다.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이초희 기자 cho77lov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