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얀마, 국제 채권시장 데뷔하나…신용등급 적용 논의

[아시아경제 박선미 기자]미얀마가 처음으로 국가 신용등급 적용을 추진 중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얀마가 금융회사 스탠다드 차터드와 국가 재정 상태를 검토하는 등 신용등급 적용을 위한 준비 작업에 들어갔다고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얀마는 현재 3대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 무디스, 스탠더드앤푸어스(S&P)로부터 신용등급을 적용받지 못하고 있다. 미얀마 정부 관계자는 "처음으로 신용등급을 부여 받기 위해 논의 초기 단계에 있다"면서 "신용등급을 받으면 외국인 투자자들도 미얀마에 대해 잘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지금 당장은 국채 발행에 나설 계획이 없지만 나중에는 결국 국채 발행에 나서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민주화와 경제 개방을 추진하고 있는 미얀마가 신용등급을 부여 받으려는 것은 국채를 발행해 국제 금융시장에 데뷔하려는 신호로 해석된다. 미얀마의 경우 첫 신용 평가에서 투자적격 이하의 신용등급을 부여 받을 가능성이 크다. WSJ은 채권시장에 위험을 감수하면서 고수익을 노리는 투자자들이 많기 때문에 미얀마가 투자적격 이하의 등급을 받더라도 자금 조달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전했다.특히 최근에는 국채 시장에서 고위험·고수익을 추구하는 '프론티어 마켓(브릭스에 이어 부상하고 있는 신흥 개발도상국)' 투자가 인기몰이를 하고 있어 미얀마로서는 국제 금융시장 데뷔전을 치르기 좋은 환경이라고 전했다.금융정보 제공회사 딜로직에 따르면 올해 현재까지 인도네시아, 필리핀, 스리랑카, 파키스탄 등 동남아시아 개도국들이 국제 채권 시장에서 조달한 자금 규모는 123억달러다. 지난해 조달액 64억달러의 두 배 수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