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최은석 기자, 장준우 기자] "동작을 강남4구로 만들겠다"(나경원) vs "정당 정치의 개혁 해결하겠다"(노회찬) "예산 폭탄으로 발전 10년 앞당기겠다(이정현) vs "유병언 부실수사 관련 전남경찰청장, 순천경찰서장이 직위해제된 것은 호남 출신이기 때문"(서갑원) 7·30 재 ·보궐선거 최대 승부처인 서울 동작을(乙)과 최대 이변을 만들어 낸 전남 순천·곡성에 나선 여야 주자들의 메시지는 이처럼 극명하게 갈렸다. 야당 절대 강세지역에 출격한 나경원·이정현 새누리당 의원은 '지역 경제 활성화'를 내세운 반면 텃밭이자 유리한 조건에서 뛴 야당의 노회찬·서갑원 후보는 '중앙 정치 심판론'을 꺼냈다. '미니 총선'이라 불린 이번 재·보선의 주인공은 정치가 아닌 '경제'였다. '정치'를 전면에 내세운 후보들은 대부분 고배를 마신 반면 '경제'를 대표 브랜드로 띄운 후보들은 적중했다. 동작을에 당선된 나 의원은 선거 내내 지역 내 삶의 질을 강남3구만큼 끌어올리겠다는 주장을 폈다. 노 후보는 나 의원을 '낡은 정치'로 규정하며 '정권 심판론'을 띄웠지만 유권자들은 심드렁했다. 26년 만에 전남에 새누리당 깃발을 꽂은 이 의원도 '지역 발전' 공약에 집중했다. 청와대 정무수석, 홍보수석을 지내며 박근혜 대통령의 최측근이란 점도 공약 실현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그의 '예산 폭탄' 메시지는 그래서 더 파괴력이 컸다. 반면 낙선한 서갑원 후보는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 비판과 '정권 심판'에 올인했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 교수는 1일 "유권자들의 투표 패턴이 이익중심으로 달라지고 있다"며 "추상적인 (정권) 심판론이 먹힐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 야당의 (정권 심판론은) 실패할 수밖에 없었다"고 분석했다. 신 교수는 "야당이 (유권자의) 투표 트렌드가 바뀐 것을 모르고 있다"며 "이젠 감성적 투표에서 이성적 투표로 패턴이 바뀌고 있고 이런 변화는 긍정적으로 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여러 정치적 사안이 많이 있지만 80년대처럼 심판론 하나만 갖고 선거를 치르기에 우리 사회는 많이 변했다"고 강조했다.이종훈 정치평론가도 "야당이 세월호 심판론을 들고 나왔지만 야당도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으니 유권자 입장에선 납득이 안 됐을 것"이라며 "국민들이 정부·여당의 실력에 회의를 갖고 있을 때 야당은 대안을 제시하며 능력을 보여줬어야 했고 그것을 적극 설파했어야 했다"고 지적했다. 최은석 기자 chamis@asiae.co.kr장준우 기자 sowhat@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최은석 기자 chamis@asiae.co.kr정치경제부 장준우 기자 sowhat@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