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에서]금융위 상임위원을 꺼리는 까닭

.

[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금융위원회는 모두 9명의 위원으로 구성된다. 금융위원장, 부위원장, 상임위원 2명과 당연직인 기획재정부 차관, 한국은행 부총재, 금융감독원장, 예금보험공사 사장, 그리고 대한상공회의소 회장이 추천하는 비상임위원 1명이 여기에 포함된다.이 가운데 당연직과 비상임을 뺀 순수 금융위원으로는 상임위원 2명이 꼽힌다. 통상 내부(금융위)와 외부(민간) 출신으로 각각 채워진다. 내부 출신 자리는 정지원 전 금융위 금융서비스국장이 지난 1월부터 맡고 있다. 외부 출신 자리는 이상제 전 위원이 지난달 임기를 마치고 친정인 금융연구원으로 돌아간 이후 비어있다. 이 자리를 채우기 위해 금융위는 이 전 위원이 떠나기 두 달 전부터 후임을 물색해 왔지만 아직까지 공석이다.상임위원은 고위공무원(1급)에 속하는 별정직 공무원이다. 임기는 3년으로 금융위원장이 추천하고 대통령이 임명한다. 통상 이 자리는 금융연구원 출신이 추천됐지만, 이번엔 선뜻 나서겠다는 지원자가 없다고 한다. 비슷한 위치의 다른 자리보다 보수가 훨씬 낮은데다 공무원 신분으로 재취업 제약까지 받아야 하는 '희생'을 감내해야 하기 때문이다.상임위원의 연봉은 1억원 안팎이다. 지난해 기준 3억원을 훌쩍 넘은 금융통화위원에 비하면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금융위원에 추천될 정도로 금융 분야에 전문성을 갖춘 인물이라면 민간 기업에서는 최소 3억원 이상의 연봉을 받을 수 있는데 누가 선뜻 나서려고 하겠냐"고 말했다.여기에 공무원 신분이어서 공직자윤리법에 따라 퇴직 후 2년 동안 금융업종에 재취업할 수 없다. 최근 국제기구에서 근무하는 모 인사가 상임위원으로 거론됐지만 이 같은 조건을 듣고서는 한 발 물러섰다고 한다. 금융위 관계자는 "(금융위원)겉만 화려하지 실상 많은 희생이 뒤따르는 자리"라며 "구인난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라고 전했다. 금융위원회는 금융 분야의 주요 사항들을 심의하고 의결하는 기관이다. 금융시장의 안정을 책임지는 막중한 자리가 돈과 결부돼 구인난에 처해있다는 현실이 씁쓸하기만 하다.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