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원 댓글수사 결과 발표 전 공공기관 동원해 개인정보 무단조회 정황- 청와대 지시·연관 정황 속속 드러나지만 '꼬리 자르기'- "몰랐다"던 해명도 거짓으로 드러나 의혹 증폭 [아시아경제 이혜영 기자]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 의혹'과 관련한 뒷조사에 청와대가 개입한 정황이 드러나고 있다. 공공기관을 동원한 개인정보 무단조회가 특정시기에 집중된 점이 확인되면서 '누가·왜' 뒷조사를 벌였는지 의혹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채 전 총장의 혼외아들로 지목된 채모(12)군과 어머니 임모(55)씨의 개인정보를 조회한 것으로 밝혀진 곳은 현재까지 4곳이다. 공통점은 4곳 모두 공공기관이라는 점. 개인의 기본정보를 정확히 알 수 있는 곳들을 중심으로 전 방위적인 조사가 이뤄진 것이다. 채군 모자에 대한 개인정보 무단조회 사태의 시발점이 된 곳은 서울 서초구청이다. 검찰은 조이제 서초구청 행정지원국장(54)이 지난해 6월11일 채군의 가족관계등록부를 무단 조회한 사실을 확인하고 구청을 압수수색했다. 조 국장은 조오영 전 청와대 행정관(55)의 부탁을 받고 이들의 개인정보를 열람했다고 말했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국가정보원이 유영환 서울 강남교육지원청 교육장을 통해 채군의 학적부에 담긴 정보 조회를 의뢰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검찰은 최근 경찰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개입된 정황도 추가로 포착했다. 검찰은 청와대 민정수석실 특별감찰관 소속 김모 경정이 서초경찰서 반포지구대에서 이들 모자의 주민등록번호와 주소지 등을 조회한 사실을 확인했다. 또 국민건강보험공단 한모 과장이 임씨의 인적사항을 조회한 정황도 드러났다. 지금까지 확인된 채군 모자에 대한 개인정보 조회는 모두 지난해 6월 국정원 '댓글사건' 수사결과 발표를 전후해 이뤄졌다. 특정시기에 국정원과 경찰, 구청, 건보공단 등이 동원된 것은 배후가 없이는 불가능하다는 시선이 지배적이다. 청와대가 끊임없이 거론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국정원의 대선 개입 수사를 지휘하던 채 전 총장을 견제하기 위해 혼외자 의혹에 대한 뒷조사를 진행했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시종일관 개입설을 부인해 오던 청와대의 해명이 거짓으로 드러나자 이 같은 의혹은 더욱 커지는 상황이다. 지난해 9월 채 전 총장의 혼외자 의혹이 불거지자 청와대는 "언론보도로 의혹을 처음 접했고 이후 특별감찰에 착수했다"고 설명했다. 12월에는 불법조회가 "개인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라며 조 전 행정관을 직위해제했다. 그러나 지난 24일 청와대는 "채 전 총장의 처를 자칭하는 여성과 관련한 비리 첩보를 입수해 확인하는 과정에서 경찰과 관련 비서관실을 통해 관련자 인적사항 등을 확인한 사실이 있다"고 입장을 바꿨다. 언론보도 이전 임씨의 존재를 알고 있었고, 민정수석실을 비롯해 여러 부서를 동원해 내사를 벌였음을 시인한 것이다. 검찰 수사로 연루 기관과 관련자들이 점차 확대되고 있고 석연치 않은 해명만 내놓은 청와대의 행보로 채 전 총장에 대한 '찍어내기 의혹'은 당분간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검찰은 삼성그룹 계열사 자금이 채군 모자에게 송금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검찰에 따르면 삼성 측은 지난달 말 "채군 계좌에 입금된 2억원은 전 계열사 임원인 이모(56)씨가 횡령한 회삿돈 17억원의 일부"라며 돈의 출처를 수사해달라는 내용의 진정서를 냈다.삼성은 자체 조사 과정에서 이씨가 빼돌린 돈이 채군 계좌로 흘러들어간 정황을 발견했고, 회사 차원의 송금이 아니라는 사실을 확인받기 위해 수사를 요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송금 시 이씨는 삼성 계열사 임원으로 재직했고, 2차 때는 한 코스닥 상장사의 부사장으로 근무했다. 이씨는 채 전 총장은 고등학교 동창으로, 채 전 총장이 서울중앙지검 특수2부장으로 삼성 에버랜드 전환사채(CB) 저가발행 의혹을 수사하던 2003년께부터 다시 연락하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이혜영 기자 itsm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혜영 기자 itsm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