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車보험-上]7兆 까먹은 10년, 살아있는게 용한 '赤字 생존'

업계 1위 삼성화재도 마찬가지온라인 전업사는 더욱 열악줄줄 새는 보험금 갈수록 늘어자산운용·타보험 수익으로 메꿔손해보험사들의 지속가능 경영이 흔들리고 있다. 자동차보험의 적자 때문이다. 최근 10년간 누적 적자는 7조원을 넘어섰다. 그동안 자산운용과 일반ㆍ장기 보험의 수익으로 자동차보험 적자를 메꿔왔지만, 이제는 그마저도 위태로운 상황이다. 만성 적자의 늪에 빠진 자동차보험의 원인을 짚어보고 해결방안을 모색해 본다.<편집자주>2003년 6418억원, 2004년 4264억원, 2005년 8061억원, 2006년 9844억원, 2007년 5110억원, 2008년 2091억원, 2009년 9203억원, 2010년 1조5369억원, 2011년 4070억원, 2012년 6334억원.[아시아경제 고형광 기자] 국내 손해보험사들의 자동차보험 부분의 적자 규모다. 최근 10년간 흑자를 낸 해는 단 한 번도 없다. 10년간 적자를 모두 합하면 무려 7조764억원에 달한다. 매년 평균 7000억원 가까운 적자가 난다는 얘기다. 올해도 마찬가지다. 2013년 회계연도 기준 8월 말까지(4~8월) 국내 30여개 손보사의 자동차보험 부문 적자는 3400억원이다. 연말까지 적자 규모가 7000억원을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1위 삼성화재도 자동차보험 부문에선 예외가 아니다. 2003년 이후 10년째 적자다. 한 해 1조원 가까이 영업이익을 올리고 있지만, 자동차보험 부문만큼은 만성 적자에 허덕인다. 올해도 상반기(4~9월) 자동차보험 부문에서 788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그나마 자산운용을 통한 투자영업에서 수익을 내고 일반ㆍ장기 보험에서 이익을 내 자동차 부분의 적자를 메웠다.온라인 전업사(자동차보험 비중 100%)의 상황은 더욱 심각하다. 종합 손보사들과 같은 완충장치가 없기 때문이다. 하이카다이렉트는 실적 악화에서 벗어나기 위해 최근 전업사를 포기하고 일반보험 상품(운전자보험) 영업에 나섰다.손보사들은 그간 자동차보험 적자를 여타 부문에서 겨우겨우 메우는 방식을 써왔다. 장기보험이나 일반보험에서 이익을 내 자동차보험 부문 적자를 충당하는 식이다. 그러나 이제는 그런 방식도 한계에 달했다. 자동차보험 적자가 커질 경우 자칫 손보사의 지속가능 경영을 흔들 수 있다는 것이다. 기승도 보험연구원 박사는 "자동차보험의 적자가 더 커질 경우 손보사들 입장에서는 지속경영에 위협을 받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자동차보험사들의 적자는 왜 이렇게 쌓여만 갈까. 들어오는 보험료는 정체돼 있는 반면 나가는 보험금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엔 자동차보험의 원수 보험료가 사상 처음 마이너스 성장(-1.7%)을 했다. 자동차 등록대수가 늘고 있는 상황에서 대단히 이례적인 일이다. 2012년 회계연도 자동차보험의 대당 평균 보험료는 63만8000원으로 전년도 67만3600원에 비해 5.3%(3만5600원)나 떨어졌다. 반면 보험사기, 과잉수리비 청구, 과잉 진료 등의 문제로 지급 보험금은 기하급수적으로 늘고 있다. 때문에 손해율도 상승 추세다. 10여년 전인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손해율은 70% 아래에 머물렀다. 그러나 2003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10년엔 80%에 육박(79.9%)했다. 2011년과 2012년엔 각각 82.3%, 84%를 나타냈다. 손보업계 관계자는 "사업비 등을 감안할 경우 적정 손해율은 77% 선"이라며 "올해는 이보다 10%포인트 높은 86%까지 상승했다"고 전했다.자동차보험 부문의 정상화를 위해선 손보사들의 경영개선과 자구노력도 병행돼야 한다. 각 보험사들이 보험사기 근절을 위해 특별팀을 구성하고 있는 것도 이의 일환이다. 그러나 간단한 접촉사고만 나도 드러눕고 보는 사회적 문화, 병원에 입원하면 보험금을 더 받을 수 있는 '병원과 환자와 보험사' 간의 먹이사슬 등을 감안하면 보험사만의 자구노력으로는 해소되지 않는 부분이 있다.허연 중앙대 교수는 "자동차보험부문의 만성적 적자는 보험사의 재무건전성을 악화시켜 손보사들의 서비스 질이 낮아지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며 "결국 소비자들의 피해로 이어진다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고형광 기자 kohk010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