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잔고 걱정되면 '하이브리드 카드'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가진 만큼만 쓰고, 소득공제도 더 받기 위해 체크카드로 갈아타는 고객. 그러나 항상 '만약'이라는 상황은 발생할 수 있다. 통장 잔고가 모자라는 상황이나, 급하게 목돈이 필요한 상황 등이 발생할까봐 꺼려지는 고객들은 '하이브리드 카드'를 사용하면 좋다. 하이브리드 카드는 기존 체크카드 기능에 신용결제 기능이 부가된 카드다. 체크카드처럼 통장 잔액 안에서 소비할 수도 있고, 잔액 이상을 넘어가면 개인의 신용도에 따라 10만~30만원 선에서 신용결제를 할 수 있다. 신용카드 발급기준을 강화하면서 출시된 하이브리드 카드는 정착이 불분명하던 초기와는 달리, 최근 발급장수가 150만장을 넘어서는 등 인기를 끌고 있다.대표적인 하이브리드 카드로는 우리카드의 '듀엣 플래티늄 카드', 신한카드의 '참(Charm)신한 체크카드', KB국민카드의 '금융포인트리 하이브리드 카드', 삼성카드의 '신세계KB국민은행삼성체크카드' 등이 있다. 하나SK카드의 경우 본인이 소지한 체크카드에 하이브리드 서비스를 연계할 수 있다. 카드별로 쇼핑, 교통, 통신 등 혜택도 다양하므로 본인에게 맞는 것을 골라 쓰면 된다.다만 하이브리드카드의 신용한도는 30만원 수준으로 높지 않으므로 철저하게 비상용으로 생각하는 것이 불편을 겪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신용카드에 비해서는 발급이 쉽지만, 하이브리드 카드 역시 발급조건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좋다. 다른 은행에 신용카드나 대출 연체가 있거나, 핸드폰 요금 연체가 있는 경우는 발급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본인의 금융 상황을 잘 알고 발급받는 것도 필요하다.김은별 기자 silversta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김은별 기자 silversta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