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질적 음원 사재기, 갈수록 지능화..'업계,자정도 병행해야'

[아시아경제 이규성 기자]그동안 '음원 사재기'가 음악계의 고질적인 병폐로 자리잡아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많았다. '음원 사재기'란 음악 차트 조작 및 저작권료 수입 확대 목적으로 저작권자 또는 저작인접권자, 전문업체 등이 해당 음원을 부당하게 구입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 경우 소비자들은 왜곡된 정보를 얻게 되며, 다른 저작권자의 수입이 줄어드는 등 시장 질서가 교란된다. 여기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음원 추천제'다. 정부가 추천제를 중점적으로 개선하기로 한 것도 음원 추천제가 순위 조작 등에 활용되기 때문이다. 지난해 12월 말 김민용 경희대 교수가 멜론·엠넷·벅스·올레·소리바다 등 5대 음원사이트를 조사한 결과 추천곡으로 지정된 곡이 인기 차트 진입에 평균 반나절밖에 걸리지 않았다. 이처럼 비정상적인 방법으로 순위가 끌어올려질 경우 다른 저작권자의 수익 감소, 방송 출연 기회 상실 등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음원 사재기 수법은 갈수록 지능화돼 음원사이트 내에서 여러 개의 ID를 통해 해킹 툴로 반복 재생해 조회수를 높여 왔다. 이 경우 4분짜리 음원을 24시간 동안 1일 360회 재생이 가능하며 심지어는 1000회를 넘어선 사례도 발생하고 있다. 사재기 유형을 보면 ▲ 특정 곡에 대한 반복 재생 ▲ 일정 기간 내 일괄적인 회원 가입 및 ID 생성 ▲ 자동 재생 프로그램 등을 통한 비정상적인 이용 등 다양한 방식이 동원되고 있다. 반복 재생 등으로 이용횟수가 늘어나면 저작권자의 저작권 수익료도 크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각종 프로모션의 주요 자료로 활용돼 방송 출연의 기회를 더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는 다른 저작권자의 기회를 박탈하는 행위다. 따라서 저작권자 등은 부당한 방식으로 수익을 올리려는 유혹을 떨치지 못 하고 손쉽게 음원 사재기에 가담한다는 것이 음악계의 설명이다. 김기홍 문화체육관광부 저작권 정책관은 "정부는 각종 기술적인 조치는 물론 모니터링을 상시적으로 실시해 음원 사재기를 근절할 것"이라면서도 "투명한 시장 형성을 우해 음악계의 자정 노력도 절실하다"고 설명했다. 이규성 기자 peace@<ⓒ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이규성 기자 peace@ⓒ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