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기업 취직보다 공무원되겠다는 청년들

청년층 취업준비생 가운데 민간 기업을 희망하는 경우가 10명 중 2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어제 내놓은 5월 경제활동인구 부가조사 결과 취업준비생 61만4000명 가운데 기업에 들어가겠다는 청년은 13만2000명으로 21.6%에 그쳤다. 대신 공무원시험을 보겠다는 경우가 19만6000명(31.9%)으로 6만여명 많았다. 이어 고시 및 전문직 9.9%, 공기업 8.8%, 교원 임용고시 4.7%의 순서로 집계됐다.  공무원이 되거나 공기업 입사를 원하는 취업준비생이 40.7%로 기업 취업 희망자의 두 배에 육박한다. 더구나 1년 전 조사보다 공무원시험 응시자는 3.2%포인트, 공기업 취업희망자는 2.5%포인트 높아졌다. 신분과 정년이 보장되는 직장을 선호하는 풍조를 무조건 탓하긴 어렵다. 그래도 도전과 열정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해야 할 젊은이들이 지나치게 안정 위주로 직장을 선택하는 것은 사회 활력이 떨어짐을 의미한다.  이런 판에 청년층 고용률은 계속 추락하고 있다. 5월 고용률은 40.1%로 1년 전보다 1%포인트 낮아졌다. 2005년과 비교하면 5.2%포인트 낮다. 역대 정부가 일자리 창출, 특히 청년실업 해소에 정책 역점을 두었지만 청년층 고용률은 되레 떨어진 것이다. 55세 이상 고령층 고용률(53%)과도 크게 차이 난다. 청년이 고령층보다 일을 적게 하는 사회에서 희망을 이야기하긴 어렵다. 취업준비생의 기업 회피 경향이 늘어나는 것은 가고 싶은 기업에 취업하기 어렵다는 이유도 있지만 구한 일자리가 비정규직이거나 대학 전공과 맞지 않는 탓도 크다. 이번 조사 결과 취업 경험자의 52%가 전공과 일치하지 않았다(매우 불일치 37.1%, 약간 불일치 14.9%)고 응답했다. 대학교육을 확 바꿔야 하는 이유다.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하고 미래 성장동력을 찾는 한국 경제의 엔진인 기업이 청년들에게 외면받는 현실을 방치해선 안 된다. 정부와 기업이 함께 나서야 한다. 대학졸업자더러 눈높이를 낮추라고 강요만 해선 안 된다. 스스로 중소기업을 선택하도록 하는 유인책이 필요하다. 교육ㆍ의료ㆍ콘텐츠 등 고부가가치 서비스산업에서 고학력자들을 수용하는 양질의 일자리를 더 만들어야 한다. 구호로 외쳐 온 창조경제를 구체적으로 실천할 때다.<ⓒ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