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금융시스템 핵심 위험요인 1위는 '가계부채'

[아시아경제 조강욱 기자]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가장 큰 위험요인은 가계부채 문제인 것으로 나타났다.1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시스템적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가계부채 문제의 비중이 전체 응답자의 82.2%를 차지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다음으로 환율갈등(57.8%), 주택가격 하락(56.7%), 기업 신용위험 증가(53.3%), 유로지역 위기(52.2%)의 순이었다.한국은행은 지난달 중순 77개 금융기관의 국내외 금융기관 리스크 담당자와 한국투자담당자 90명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5대 핵심 리스크에 대해 설문 조사했다. 응답비중은 복수응답 기준으로 90명의 응답자별로 5개 리스크를 응답하도록 한 후 리스크별 응답 합계를 응답자수(90명)로 나눠 계산한 것이다.이번 조사에서는 지난해 7월 조사 때 5대 리스크에서 제외됐던 환율갈등과 기업신용위험 증가가 포함됐다. 원화절상과 대내외 경기부진이 지속되면서 이 항목의 응답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경제 경착륙'과 '미국 경기회복 지연'은 5대 리스크에서 제외됐다. 또 유로지역 위기는 응답비중이 91.9%에서 52.2%로 하락했다. 5대 리스크의 발생 시계(視界)를 보면 환율갈등과 기업신용위험 증가는 1년 이내인 단기 리스크로, 주택가격 하락과 유로지역 위기는 중ㆍ단기(3년 이내), 가계부채 문제는 중기(1~3년) 리스크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는 또 가계부채 문제와 주택가격 하락이 금융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은 크고 발생확률도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 조사대상자는 가계부채 문제를 가장 많이 선택한 반면에, 해외조사대상자들은 유로지역 위기를 우선적으로 꼽았다.개별 금융기관이 대응하기 가장 어려운 리스크에 대해선 은행 응답자가 기업신용 위험 상승(63.6%)을, 비은행응답자는 가계부채 문제(76.5%)를 각각 꼽았다. 금융시장 참가자는 환율갈등(51.4%)을, 해외조사대상자는 유로지역위기(62.5%)를 선택했다. 이어 이번 조사에선 3년 이내 우리나라에서 금융시스템적 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에 대해 '낮다'는 의견이 많았다. 단기(1년 이내) 시스템적 리스크가 발생 가능성도 '낮다'라는 응답이 52%로 '높다'는 응답(16.7%)보다 많았다. 중기(1~3년)의 경우는 '낮다'(27.8%)와 '높다'(26.6%)가 비슷했다.향후 3년간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44.4%가 '높다'고 응답한 반면 '낮다'라는 응답은 7.8%에 그쳤다. 해외 조사대상자가 금융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를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지난번 조사와 비교해서도 신뢰도는 상승했다.조강욱 기자 jomarok@<ⓒ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조강욱 기자 jomarok@ⓒ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