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TE 데이터 무제한' 딜레마에 빠진 이통 업계

영업정지 위기 탈출 자구책으로 오늘부터 석달간 한시 판매데이터 중심 논의에 역행.. "손님 끌고보자" 지르기 경쟁
[아시아경제 심나영 기자] 이동통신 업계가 'LTE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딜레마에 빠졌다. 9년만에 맞은 영업정지 위기에서 벗어나려는 해법으로 도입했지만 제 발등을 찍은 격이다. LTE 트래픽 증가 우려를 스스로 자초했고, 스마트폰 요금제 자체를 '데이터 중심'으로 전면 개편하려는 흐름과도 충돌한다. 31일부터 세달만 한시적으로 시행한다고 했으나 이 정책을 계속 이어가야 할지도 고민거리다.  ◆데이터중심요금제 논의 '쑥' 올 상반기 중 우리나라 휴대폰 이용자 중 3명 중 1명이 LTE 서비스를 이용하는 시대가 열리게 된다. 이에 대비해 이통사들은 지난해부터 데이터 중심 요금제 논의에 군불을 때기 시작했다. 데이터 중심 요금제는 더이상 음성과 문자에 기대지 않고, 수익의 중심을 데이터로 옮기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음성ㆍ문자 사용률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 반면 데이터 트래픽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까지 이통사의 이런 움직임을 지원해주고 있었다. 박근혜 당선인의 통신공약에도 '데이터중심요금제 신설'이 있다. 이 시점에서 월10만원을 내면 LTE 데이터를 무한정 제공하겠다는 것은 데이터로 돈을 벌겠다는 계획과 정반대로 간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이통사 고위 임원은 "한창 데이터 중심 요금제로 가려는 분위기가 만들어지고 있는 찰나에 LTE 무제한 요금제가 등장해 찬물을 뿌렸다"며 "경쟁사가 먼저 (LTE 무제한을) 시작했는데 LTE 가입자를 빼앗기 않으려 어쩔 수 없는 선택이었다"고 우려했다.  주무부처인 방통위도 정책 방향이 거꾸로 가고 있다는 데 동감하고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지난해 보이스톡을 두고 벌어진 이통사와 카카오톡 간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이통사들이 데이터중심 요금제를 시작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 트래픽은 점점 늘어날텐데방통위 말처럼 보이스톡 같은 서비스 하나만 등장해도 트래픽이 급증할 것이라 반발하는 게 이통사 속성이다. LG유플러스는 영업정지 기간 동안 빼앗겼던 고객을 되찾아오려고, SK텔레콤과 KT는 안 뺏기려고 LTE 데이터 무제한을 시작했지만 이로인해 이통사들이 우려하는 LTE 트래픽이 급증할 수 있다는 것은 얼마든지 예측할 수 있다.
방통위가 지난 6일 발표한 '무선데이터 트래픽 통계'에 따르면 LTE이용자들 중 상위 1%가 전체 데이터용량의 8.4%, 상위 10%가 28.9%를 차지했다.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가 시작되기 전이라, 다음달이 되면 이 수치가 3G처럼 오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3G에서는 상위 1%가 사용자가 전체용량의 23.2%를, 상위 10%가 69.1%를 쓴다.  그러나 또다른 의견도 있다. 월 5만4000원짜리 요금제 이용자부터 무제한 데이터를 적용하는 3G와, 월 10만원씩 내는 이용자들만 무제한 데이터를 쓸 수 있는 LTE는 경우가 달라 트래픽 증가량이 미비할 수 있다는 전망도 많다.  ◆이용자 혜택 아닌 3사 주도권 싸움 전락 우려 LTE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의 초점이 이용자 혜택이 아닌 이동통신 3사간 헤게모니 경쟁으로 치달을 가능성도 있다. 이통 업계 관계자는 "3개월후 LTE 무제한 데이터를 계속 할 것인지 결정할 때 이용자들에게 이 서비스가 얼마나 인기가 있냐, 없냐는 별다른 영향을 못 미칠 것"이라며 "경쟁사가 이 서비스를 계속 할지 말지가 가장 중요한 고려사항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처음부터 이통3사간 경쟁에서 '이런 것도 한다'는 보여주기식 서비스로 시작했기 때문에 눈치싸움을 벌일 수밖에 없다는 뜻이다.  방통위 관계자는 "LTE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는 통신3사가 서로 부랴부랴 따라한 것이라 어떤 방향으로 전개될지 예측하기 힘들다"라며 "1,2,3위 사업자들이 자신만의 전략을 가지고 시장을 공략하는 것과는 달리 국내 통신시장의 치열함이 이런 상황을 만들었다"고 꼬집었다. 미국만 봐도 1, 2위 사업자인 버라이즌과 AT&T는 데이터 중심 요금제, 4위 사업자인 T모바일은 LTE 무제한 요금제로 각자 다른 방식을 통해 승부를 걸고 있다.심나영 기자 sny@<ⓒ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심나영 기자 sny@ⓒ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