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김종일 기자, 오종탁 기자] 민주통합당의 대선 후보로 16일 선출된 문재인 후보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연대는 정권교체를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문 후보는 이날 대선 후보로 선출된 후 기자들과의 일문일답에서 “안 원장이 아직 출마 의사를 밝히지 않아 단일화 시점과 방법을 이야기하는 것은 이르다”면서도 “안 원장과의 연대는 국민의 여망이므로 단일화를 반드시 이뤄내겠다”고 밝혔다.그는 안 원장과의 공동정부론에 대해서는 “정권교체 이후 경제민주화와 복지국가라는 새로운 세상을 위해 개혁을 해나가려면 개혁세력의 안정적 뒷받침이 필요한데 개혁세력의 저변을 넓히는 차원에서 말씀드린 것”이라면서 “공동정부론에 대한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고 설명했다.문 후보는 다만 “구체적으로 누가 어떤 역할을 맡고 하는 식의 정치공학적인 말은 아니었다”고 덧붙였다.-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의 단일화 시점과 방식이 궁금하다. 더불어 민주통합당 대선후보로서 이제 안 원장을 직접 만나야 하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는데 구체적인 회동 시점을 생각하시는게 있으신지?▶ 아직 안 원장이 출마 의사를 밝히지 않은 상태라 단일화 시점이나 방법, 만날 것인지 여부를 이야기하는 것은 조금 이르다고 생각한다. 원론적으로 말씀드리자면 정권교체 위해 안 원장과의 단일화 연대는 꼭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그것이 국민의 여망이기도 하다. 단일화 연대 반드시 이뤄내겠다. 만약 안 원장이 출마하지 않는다면 제가 당연히 만나서 지지와 협조 부탁드리겠다. 만약에 출마선언 한다면 그때는 시간을 좀 드려야한다. 아름다운 경쟁 통해 국민들에게 새로운 경쟁의 모습 보여드리고 그를 통해 반드시 단일화 해내겠다. 저는 민주당 후보이므로 민주당이 중심이 되는 단일화 할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 이해찬 당 지도부가 사실상 2선 후퇴를 선언했다. 앞으로 이해찬 지도부와 관계 설정과 당 쇄신방향에 대해 묻고 싶다.▶ 우선 선거기간 동안 후보와 선거대책위원회가 전권을 행사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과거에도 늘 그렇게 해 온 것으로 알고 있다. 최고위가 그런 절차를 취해주신 것이다. 우리 민주통합당도 이제는 좀 달라져야 한다. 과거의 정치방식으로는 안 된다는 것이 이번 경선을 통해 드러난 민심이다. 우리가 야권대통합 이루어서 창당할 때, 변화에 대한 기대로 국민들께 많은 지지 받았었는데, 그 이후에 지지가 멈췄다. 국민들이 바라는 눈높이만큼 바뀌어야한다. 구체적인 쇄신방안은 선대위 구성 중에 가칭 정치쇄신위원회 같은 것을 만들어서 이런 논의들을 모아나갈 생각이다. 위원회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쇄신방안을 밝히겠다.- 안 원장과의 공동정부론, 아직도 유효한가?▶ 제가 공동정부론을 말한 것은 안 교수와의 단일화연대가 정권교체에 그치지 않고, 정권교체 이후에도 우리가 새로운 정치, 경제민주화나 복지국가를 위해 제대로 개혁하기 위해서는 개혁세력의 안정적인 뒷받침이 필요한데, 개혁세력의 저변을 넓히기 위해서다. 공학적인 얘기가 아니었다. 지금도 그 생각은 변함없다. 함께 손 잡고 단일화연대 이루어서 정권교체도 해내고 앞으로 새로운 세상 만드는 데까지 함께 가고 싶다.- 박근혜 후보는 전태일재단 등 광폭행보 보이고 있다. 초반행보는 어디에 중점 둘 것인가? 안철수 원장의 행보도 일정에 고려할텐가?▶ 박근혜 후보는 새누리당에서 절차적으로 후보로 선정되기 전부터 사실상 후보로 확정되다시피 했다. 아마도 후보가 되고 난 이후의 구상에 대해 오래 전부터 구상했을 것이다. 저는 이제 막 후보가 됐다. 저에게 당장 내일부터의 행보를 묻는 것은 제가 좀 답하기가 어렵다. 앞으로 함께 할 분들과 논의를 모아서 해 나가겠다. 다만 말씀드리자면, 저는 정치적인 행보보다는 정책으로 국민들에게 다가가는 쪽에 무게를 두고 집중하려 한다. 안철수 원장과의 부분도 그 분이 출마여부를 밝히고 난 이후에 판단할 문제다. 김종일 기자 livewin@오종탁 기자 tak@<ⓒ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종일 기자 livewin@정치경제부 오종탁 기자 tak@ⓒ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