멸종위기 섬시호, 섬꼬리풀 대량증식 성공

국립수목원·남부지방산림청, 23일 울릉도 관음도 ‘희귀·특산식물 전시·보존원’에 옮겨 심어져

[아시아경제 왕성상 기자] 멸종위기에 놓인 울릉도 특산식물 섬시호와 섬꼬리풀이 대량 증식됐다. 23일 산림청에 따르면 국립수목원(원장 신준환)과 남부지방산림청(청장 남성현)은 급격한 생태환경 변화 등으로 멸종될 뻔 했던 섬시호와 섬꼬리풀의 대량증식에 성공했다.

증식에 성공한 멸종위기 특산식물 섬시호

증식된 개체는 이날 다리 건설로 새 관광명소로 떠오르는 관음도 ‘울릉도지역 희귀 및 특산식물 전시·보존원’ 조성지에 옮겨 심어진다. 두 기관은 자생지의 보전관리와 생태적 특성연구, 증식법 개발 등에 힘을 모아 결실을 얻었다. 산형과(科)인 섬시호(Bupleurum latissimum Nakai)와 현삼과(科)인 섬꼬리풀(Veronica nakaianum Ohwi)는 여러해살이풀로 세계적으로 울릉도에서만 자라는 희귀?특산식물이다. 두 식물은 1915∼1916년 처음 발견된 뒤 1990년대 후반부터 ▲기후변화 ▲택지와 농경지 및 도로건설에 따른 급격한 생태환경변화에 따른 교란 ▲무단채취로 자생지에서 사라졌다. 드물게 숲 가장자리 바위절벽을 피난처로 삼아 몇 개체씩 남아 있다.

증식에 성공한 멸종위기 특산식물 섬꼬리풀

국립수목원 연구팀은 이들 식물을 대상으로 개체군 모니터링, 생태조사에 나섰고 현지보존을 위해 자생지 환경개선으로 개화, 결실 촉진, 개체 수 증식을 꾀했다. 자생지의 생태환경개선 후 햇볕이 잘 들고 생태환경이 좋아지면서 개화와 종자결실률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개체수도 불었다. 국립수목원 관계자는 “종자를 충분히 채취, 종자발아 특성연구로 대량 증식할 수 있었다”며 “증식에 성공한 섬시호 1000개체와 섬꼬리풀 250개체를 관음도에 복원하게 됐다”고 말했다. ☞관음도는?깍새(슴새의 울릉도 방언)가 많이 살았다고 해서 ‘깍새섬’이라고도 불리며 저도항에서 북동쪽으로 약 5km 떨어진 북면 천부리에 있다. 산림청이 관리하는 국유지(약 7ha)로 한때 농경지로 이용될 만큼 땅이 비옥하며 섬 가장자리는 동백나무, 후박나무, 섬벚나무, 해송 등의 나무가 울창하다. 섬광대수염, 섬현삼, 섬초롱꽃, 섬쑥부쟁이 등 울릉도 특산식물을 포함한 50여종의 식물이 자라고 있다. 산림청과 국립수목원은 관음도에 울릉도 희귀·특산식물보전을 위한 전시와 보존원을 만들고 독도 생태계 보존·복원을 위한 전진기지로 활용할 계획이다. 섬시호·섬꼬리풀 증식과 복원사례는 멸종위기식물의 지속가능한 보전과 활용, 교육적 홍보효과를 위해서도 중요한 기틀이 될 전망이다. 왕성상 기자 wss4044@<ⓒ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문화부 왕성상 기자 wss4044@ⓒ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