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1총선에서 부산 사상에 출마한 문재인(왼쪽) 민주통합당 상임고문과 손수조 새누리당 후보가 본격적인 표심다지기에 들어갔다. 사진은 문 상임고문과 손 후보가 8일 각각 공장과 노인복지시설을 방문한 모습.
[사상(부산)=아시아경제 김종일 기자] 현장에서 본 부산은 아프고 서러웠다. 부산에서 직접 '느낀' 민심은 서울에서 '들은' 민심과는 확연히 달랐다. 부산 어디서나 '성난 민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장과 마트, 버스와 택시, 노인정과 주민센터 등에서 만난 시민들은 하나 같이 어려운 부산 경제를 성토했다. 유권자들은 이번 4ㆍ11 총선의 부산 민심의 향방은 뿔난 부산 시민들을 '누가' '어떻게' 어루만져 주느냐에 달려 있다고 입을 모았다. 정확히 이 지점에서 부산 시민들의 여야 후보들의 평가가 갈렸고 여야 정당에 대한 호감도가 나뉘었다. 8일 오후 이번 총선에서 최고의 주목을 받고 있는 부산 사상구를 찾았다. 시민들은 지난 5일 공천을 확정 받은 손수조 새누리당 후보와 연일 지지율 '상한가'를 치고 있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에 대한 이야기만큼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과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이야기를 많이 했다. 마치 손수조와 문재인의 대결이 박근혜와 노무현의 대리전이라고 느껴질 정도였다. "새누리당에서 손수조를 공천한 게 이해가 안 돼. 27살의 어린 아가씨가 지역 경제에 대해 뭘 알겠어. 박근혜가 정말 문재인 대항마 찾기가 어려워 '버리는 카드'로 공천한 게 맞아?" 사상구 서부버스터미널에서 만난 윤숙자(61)씨는 '지역민심이 어떠하냐'는 질문에 오히려 기자에게 이렇게 되물었다. 두 후보의 사무실이 있는 괘법동의 한 식당에서 만난 이종숙(54)씨도 같은 질문에 "원래 여당 찍으려고 했는데 어린 아가씨가 나와 좀 그렇다"며 "박근혜가 요새 부산 민심을 똑바로 못 읽는 것 같다"고 말했다. 지역에서 만난 많은 친여 성향의 시민들은 지역민심을 묻는 질문에 손수조 후보에 대한 공천을 문제 삼으며 새누리당의 수장인 박근혜 위원장을 비판했다. 박 위원장이 원칙과 소신을 저버렸다는 것이다. 주례동에서 만난 한 약국 사장 양모씨(42)는 "얼마 전 박 위원장의 방문이 오히려 부산 민심에 불을 질렀다"며 "저축은행사태에 정수장학회까지 나와 여론이 좋지 않았는데 부산 시민들의 염원인 신공항 재추진에 대해 또 애매모호하게 대답해 점수를 많이 까먹었다"고 설명했다. 부산 시민들은 박 위원장이 지난달 24일 취임 이후 첫 방문지로 부산을 방문해 '선물 보따리'를 들고 올 줄 알았는데 포장지만 요란하고 내용이 없어 오히려 성난 민심을 더 긁어놓은 셈이 됐다는 것이다. 양 사장은 "13일에 부산에 또 온다는데 사실상 이번이 민심을 돌릴 마지막 기회일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에 문재인 후보는 '적지'(敵地)에서 낮은 정당 지지도를 극복하며 점차 호감도를 높여 당선 안정권에 접어들고 있다는 여론이 많았다. 여기에는 '노무현 효과'가 상당 부분 작용한 것으로 보였다. 덕포동의 한 상점에서 만난 이규한(46)씨는 "문재인 후보는 '노통'(노무현 전 대통령)의 정신을 이어 받은 사람 아니냐"며 "부산은 원래 한 번 정한 마음 잘 안 바꾸는데 '노통'이 짠해서 이번엔 (새누리당) 못 찍겠다"고 말했다. 상점 주인도 "문재인이 대통령 나가면 또 선거해야 한다는데 대통령 되면 지역에 힘 좀 안 쓰겠어"라며 "노통이 못 다 이룬 거 마저 해야지"라고 거들었다. '노풍'(盧風)이 '문풍'(文風)을 받치고 있는 형국이다. 실제로 문재인 후보와 손수소 후보는 여론조사에서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얼마 전 중앙일보 여론조사에서 문 후보는 44.5%의 지지율로 25.1%에 그친 손 후보를 더블 스코어 가깝게 따돌리고 있다. 정당 지지율이 새누리당(34.5%)과 민주통합당(34.1%)이 박빙인 점도 주목된다. 박 위원장이 부산 민심을 잃어 점수를 까먹고 있는 사이에 문 후보의 인기에 '노풍'이 더해지면서 민주통합당의 지지율도 함께 올라가고 있는 양상이다. 김종일 기자 livew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경제부 김종일 기자 livew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