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블로그]'복제약 회사' 비아냥에도 유한양행이 존경받는 이유

[아시아경제 신범수 기자]선거를 앞두고 재벌개혁이니 해체니 하는 이야기가 한창이다. 재벌도 아니면서 이 논의에 심심찮게 등장하는 회사가 있는데 바로 유한양행이다. 잘 알려진 이야기지만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짚어본다. 유한양행의 창업자 유일한 박사는 사후 전 재산을 장학재단에 기증했다. 그러면서 후손 누구도 재단 운영에 관여하지 못하게 했다. 기업에서 나온 이윤은 상속의 대상이 아니라 원주인인 사회에 돌려줘야 한다는 게 그의 신념이었다.하지만 꼭 이런 식으로 해야 존경받는 회사냐며 거부감을 갖는 사람들도 있다. 유한양행이 추앙을 받을수록 사회는 재벌에게 '당신도 무엇인가를 내놓아라'고 요구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기업이 제 몫만 잘 한다면 존경받을 자격이 있다고 그들은 주장한다. 맞는 말이다. 고용창출ㆍ경제발전 기여ㆍ소비자 행복증진 등 측면에서 우리 재벌들도 존경받을 만한 구석이 많다.그렇다고 유한양행을 깎아내릴 이유도 없다. 유한양행이 매출액 6000억원에 불과한 복제약 회사라는 사실은 분명하다. 하지만 이런 현주소와 유 박사의 기업가 정신에 대한 평가는 별개 사안이다. 유한양행은 제약업계를 대표하는 기업 중 하나다. 유 박사의 결정이 회사의 경쟁력을 약화시켰다고 볼 수도 없다.우리가 존경을 보내는 대상은 유한양행이라는 회사가 아니라 유 박사 혹은 그의 기업관이다. 그래서 복제약이나 만드는 유한양행은 존경하지 못하겠다는 주장도 언뜻 설득력 있게 들린다.하지만 이는 유 박사의 기업관을 폄하하거나 그 기업관이 유한양행의 발전을 막은 잘못된 판단인 것처럼 비치게 할 위험이 있다. 게다가 물리적 크기가 커야 존경받을 가치가 있다는 그릇된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기에 더 주의해야 한다. 70년대까지 유한양행은 여느 재벌 부럽지 않은 큰 회사였다. 유 박사는 기업을 잘 일구고 그 열매를 사적으로 향유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그런 유 박사에게 '흔쾌히' 존경심을 보낸다.재벌의 훌륭한 업적이 평가를 받지 못하는 건 총수가 자신의 재산을 사회에 내놓지 않아서만은 아니다. 다른 측면에서 저질러 온 과오와 부인할 수 없는 부작용 때문이다. 젊은이들이 재벌회사에 취직하기를 원하지만 그 회사의 총수를 '흔쾌히' 존경하지 못하는 것도 마찬가지 이유에서다.'조그마한 복제약 회사'라는 비아냥이 유한양행에 대한 사람들의 존경심을 저버리게 하지는 못한다. 재벌이 의미 있는 일을 많이 했다고 강조한다해서 존경심이 저절로 우러나오는 것도 아니다.한 해 수만 개씩 일자리를 창출하는 글로벌 기업보다 유한양행이 더 존경받는 현실은 분명 어색하다. 하지만 복제약 회사 말고는 딱히 존경할 만한 기업이 없는 현실도 결국 재벌 스스로 만든 게 아니던가.신범수 기자 answe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신범수 기자 answe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