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안·프라임 워크아웃 만만찮네

사측, 해외PF 보증 요구채권단, 인력감축 입장노조, 경영진 교체 주장내년 1월로 결의 연기[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프라임그룹 기업개선작업(워크아웃)이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 8월 채권단에 워크아웃을 신청했던 프라임개발과 삼안의 워크아웃 방안을 놓고 채권단과 노동조합, 회사 등 이해 당사자 간에 마찰을 빚고 있기 때문이다.◇채권단, 워크아웃 방안 결의 연기= 24일 금융권에 따르면 채권단은 프라임개발과 삼안의 워크아웃 방안 확정일을 내년 1월2일로 연기할 방침이다. 원래 내달 2일이 결의일이지만 의견 조율을 위해 1개월 늦추기로 한 것이다.프라임개발·삼안의 주채권은행인 농협 관계자는 24일 "(프라임개발·삼안 워크아웃 방안에 대한) 채권금융기관 의결이 12월2일로 예정돼 있지만 한달간 연장이 가능하다"며 "신규 자금 지원 등 채권단 간에 협의할 부분들이 많아 의결일을 미룰 것"이라고 밝혔다.삼안의 경우 회계실사 결과 165억원의 신규 자금 지원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측은 인력 감축 등을 전제로 채권단에 해외 프로젝트파이낸싱(PF)사업에 대한 보증도 요구한 상태다. 채권단은 신규 자금 지원과 기존 채무 만기 연장 및 금리 인하 방안 등을 검토 중이다.
◇노조, 인력 구조조정 반대= 삼안 노조는 인력 구조조정 방안에 대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삼안이 어려워진 것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로 모기업인 프라임개발이 유동성 위기에 빠졌기 때문인데 경영진들은 책임을 지지 않고 직원들의 희생만 강요하고 있다는 것이다. 노조는 ▲경영진 교체 ▲대주주 지분 감자 ▲채권액 및 체불임금 출자전환 등을 요구하고 있다. 하지만 채권단은 인력 구조조정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구태신 삼안 노조위원장은 "사측이 경영정상화 방안으로 비용 절감을 위해 등기임원 보수를 50% 삭감한다고 하지만 그래도 연봉이 10억원에 이른다"며 "직원 임금도 3개월 이상 밀려 체불된 임금이 150억원에 달하는 상황에서 지난 9·10월 수금된 110억원도 세금 등으로 다 빠져나갔다"고 말했다.실제 지난해 말 삼안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삼안이 프라임개발 등 특수관계자에게 빌려주거나 보증을 선 채권액은 1083억원에 이른다. 한편 삼안은 수력·수자원·상하수도·도로·철도·도시계획·항만·환경 등 건설 엔지니어링 분야에서 조사·계획·설계·감리·건설사업 관리업무를 수행하는 중견 업체로 프라임그룹에 인수되면서 경영사정이 악화됐다.박민규 기자 yush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민규 기자 yush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