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새벽 “무대 위나 아래에서나 똑바로 사는 거, 그거면 족해요”

<div class="blockquote">경상도 부산출신 기자와 전라도 군산 출신 배우가 서울 삼청동 어느 카페에서 마주보고 앉았습니다. 이거 참 ‘위험한’ 인터뷰입니다. 3월 31일 개봉을 한 영화 <위험한 상견례>는 88올림픽이 끝난 다음해, 당시 금기와도 같은 사랑에 빠져버린 전라도 남자와 경상도 여자의 러브스토리입니다. “광주거리를 걷는 꿈”을 꿨다는 말에 “악몽을 꾸었구먼”이라 대답하는 장인과 경상도 사람은 “간이 안 맞아”고 말하는 시아버지는 평행선을 그리지만 그럴수록 이 아날로그 시대의 사랑은 더욱 간절해지기만 합니다. 영화 <마더>의 세팍타크로 형사로 등장해 영화 <방자전>의 허를 찌르는 변학도, 도시가스 위치를 정확히 아는 영화 <해결사>의 형사와 영화 <부당거래>의 찌질한 처남, 개봉을 앞둔 <위험한 상견례>까지. 어눌한 전라도 사투리에 큰 변화 없는 표정. 그러다 관객들을 뒤집히게 만드는 폭소의 맥까지. 이제 그를 좀 알 것 같다고요? 장담하지 마십시오. 우리는 겨우 이 배우의 새벽 풍경을 보았을 뿐입니다. 그리고 곧 다가올 아침은 꽤나 뜨거울 것 같습니다.
100: <위험한 상견례>는 아무래도 현준이 전라도 출신 남자라는데서 오는 편안함이 있었겠어요. 송새벽: 시나리오는 너무 재밌는데 사실 촬영 들어가기 전에는 뭐랄까, 걱정이 좀 있었어요. 저는 전라북도 군산인데 여기 설정은 전라남도 광주잖아요. 남도는 악센트나 성향이 대부분이 좀 더 세고 강하거든요. 말의 리듬도 다르고. 그런데 저는 북도사람이니까 이 두말이 짬뽕되면 죽도 밥도 안 되겠다는 걱정이 먼저 들더라고요. 공부도 좀 하고 남도 고향인 연기자 선배들에게 좀 배우고 그랬죠. 나름 변신이에요. (웃음) <H3>“어렸을 때는 <백발마녀전>만 100번 넘게 봤어요”</H3>
100: 어린 시절을 보낸 군산은 어떤 곳인가요? 근대의 모습이 꽤나 많이 남아 있는 곳이라고 들었는데요. 일본의 쌀 수출항으로도 쓰인 곳이고 그래서 일식 적산 가옥도 많아 독특한 풍경을 가지고 있다고 하던데. 송새벽: 예. 그야말로 교과서에 쓰인 대로 호남평야, 쌀 창고! 옛날 모습이 많이 남아있어서 그런지 유독 드라마 촬영이나 <장군의 아들> 같은 영화 촬영도 많이 하고 그랬어요. 가끔 와 카메라다! 하면서 촬영 구경하고 그랬죠. (웃음) 100: 어렸을 때부터 영화나 드라마 혹은 연기에 관심이 있으셨던가요?송새벽: 아니, 전혀요. 그냥 비디오가게 가서 이거 재미있겠다! 빌려보는 수준이었죠. 영화를 진지하게 생각했던 것도 아니고, 연기자에 대한 꿈도 없었고 그냥, 평범했어요. 저도 오늘날 이제꺼정, 어떻게 이렇게 살 수 있는지 모르겠어요. 이 일이 뭐가 좋아서 하지? (웃음)100: 하하. 뭐가 좋아서 하세요?송새벽: 이게 아닐까 싶어요. 음... 어느 공연의 대사를 빗대어서 말하자면, 살아있음을 느껴요. 심장이 쿵쾅쿵쾅 대는 느낌들? 무대에서나 카메라 앞에 있을 때나.100: 지금껏 영화관객들에게 본 배우 송새벽은 사실 에너지가 막 끓어 넘치는 배우 스타일은 아니잖아요. 오히려 끓어오르는 사람들 툭 건드려서 힘 팍 빠지게 만들면서 웃음을 만드는 편이라면 모를까. 그래서인지 어쩐지 내성적일 것 같다는 생각을 많이 하게 되는 것 같아요. 유리 씨가 전근가도 그 정도 테러 밖에 못하고. (웃음)송새벽: 이제껏 출연했던 영화들만 봤을 때는.... 아 그러네요. 예전에 <이>라는 공연을 했을 때 우인 중의 하나인 남원부사 역을 했는데 굉장히 원초적인 에너지의 사람이었어요. 아! 그 때 공연을 보셨어야 하는데. ... 그런 때도... 있었다. 그런 말씀입니다. 100: 영화의 배경이 89년인데 그때 군산에서 누렸던 문화적인 가장 큰 혜택은 뭐였어요? 송새벽: 제가 79년생이니까, 11살 초등학교... 책받침? (웃음) 당시 유덕화, 장국영 같은 배우들 코팅 책받침 같은 거 학교 앞에 많이 팔았잖아요. 이번 영화에 박남정 형님도 나오지만 허리우드 극장, 군산극장, 제일극장 같은 데는 홍보용으로 책받침 나눠줬던 기억이 나요. 특히 <우뢰매>책받침을 좋아했어요. 100: 에서 <백발마녀전>이 어린 시절 인생을 뒤 흔든 영화라고 하셨는데요.송새벽: 예. 정말요. 중학교 2학년 겨울방학 극장에 가서 봤는데 당시에 임청하, 장국영을 안 좋아하는 애들은 없었잖아요. 홍콩영화 마니아는 아닌데 유독 그 영화를 푹 빠져서 봤어요. 한 100번 넘게. 지금도 집에 소장하고 있고 가끔씩 보고 싶을 때 꺼내보고 그래요. 2편도 나왔는데 제목이 <천하무적>인거예요. 마니아 급 팬으로서 제목이 이게 뭐여~, 했죠 (웃음) 100: 왜 그 영화가 그렇게 좋으셨는데요? 송새벽: 그야말로 한 여자를 위한 사랑, 그런 자기희생적인 사랑이 저에게 크게 왔던 것 같아요. 마지막에 두 사람이 드디어 상봉을 하잖아요. 천설봉에 천년마다 한번 피는 꽃을 먹이면 중원을 떠나 천년을 살수 있다는 전설 때문에 10년 동안 한결 같이 그 어떤 사람이 와도 다 물리치고 기다린 장국영이 만개한 꽃을 꺾어가지고 다가가는데 오해한 임청하가 백발을 쏴아악 날리면서 쿵쿵쿵쿵! 장국영이 퍽 쓰러지잖아요. 그때 장국영이 품에서 꽃을 꺼내면서 하는 대사가, 내가 뭣을 잘못했든 이것 하나만은 알아줘요. 모두 다 당신을 위해 그랬다는 걸. 하- 사실 평범한 대사일 수도 있는데 그 영화의 모든 것이 너무 강하고 충격적으로 다가왔어요. 물론 사춘기적인 감수성 같은 것도 있었겠지만, 언젠가 이런 사랑을 꼭 한번 해보고 싶다고 생각 했어요. 100: 보통 남학생들이 홍콩영화를 보면 액션에 집중하는 경우가 많던데 특이하게도 멜로 부분에 더 집중해 보셨네요. 송새벽: 예... 굳이 따지자면 액션보다는 멜로를 좋아하는 편인 것 같아요. <H3>“연극은, 휴- 개뿔 아무것도 몰랐어요”</H3>
100: <위험한 상견례>에서 이시영 씨와 연애하는 장면 찍으면서 좀 오글거렸겠다 했는데 웬걸, 원래 멜로형 인간이셨군요.송새벽: 저는요... 이런 거... 되게 해보고 싶었어요! 요새는 핸드폰 하나로 다 되잖아요. 손때 묻혀서 편지 쓰고 이러기가 쉽지 않잖아요. 이 영화를 찍으면서 80년대 후반의 청춘남녀들이 너무 부럽더라고요. 삐삐도 없는 시절에. 시간 딱 맞춰서 전화해야하고. 아날로그적인 게 제 성향 상 더 가까운 것 같아요. 물론 지금보다 덜 편리한 시대였지만 사랑의 감정, 애틋함 이런 게 너무 부럽더라고요. 너무 예쁜 거예요.100: 학창시절에 그런 연애 해보셨을 거 아니에요? 송새벽: 학교 다닐 때는 정말 조용-하게 다녔어요. 고등학교 때는 한번 말을 하면 우아 새벽이 말한다, 새벽이 말한다, 그랬을 정도였죠. 100: 말하기가 귀찮으셨어요?송새벽: 어휴, 아니죠. 저도 답.답. 했죠. 지금 생각하면 왜 학창시절을 그렇게 보냈을까 후회될 정도로 무미건조했어요. 반면에 조용히 다녀서 좋았던 건 분명 있었어요. 그때 제 머리 속이 복잡했거든요. 세상에 대한 사춘기적인 ‘다가옴’ 있잖아요. 혼자 있는 게 좋았죠. 아! 작렬하는 태양! 세상이 왜이래! 100: 그러면 대학에서 연극 동아리를 시작하시기 전에는 배우에 대한 생각을 한 번도 안하셨어요?송새벽: 단 한번도. 저는 손들고 발표를 한 적이 거의 없었어요. 그러다 대학 들어가서 연극극회인 ‘마당’에 들어가 놀았어요. 연극을 좋아해서 시작한 게 아니라 그 사람들이 좋았고 연극은 그저 그 사람들이 하는 거였어요. 그 부대낌이 너어-무 재밌으니까. 한 사람 한 사람 어쩜 그렇게 진국들만 모였는가 싶을 정도로. 지금 생각해봐도 스무 살 극회활동 하던 시절이 최고였어요. 최고. 100: 사람들이 좋아서 시작했고 같이 노니까 너무 좋고? 송새벽: 예, 그렇게 시작한 거예요. 연극은, 휴- 개뿔 아무것도 모르고. (웃음) 고등학교 3학년 때까지 아 따분해 따분해, 미치겠다, 답답해 있다가 대학교 때 그 선배들 만나서 빵! 터진 거죠. 100: 그 때부터 사는 게 재밌어지기 시작하신 거예요?송새벽: 아! 그 표현이 딱이네요. 사는 게 진짜 재밌어지기 시작한 거예요. 진짜로.100: 그런데 재미로 할 수 있는 시기는 끝나기 마련이잖아요. 그걸 결국 잘해야 하는 상황이 오기 마련인데. 가장 슬픈 게 그 일이 재밌고 좋은데 잘 못할 때잖아요. 그런데 이 일을 어쨌든 직업으로 삼고 가도 되겠구나, 라는 생각은 언제쯤 드셨어요?송새벽: 서른 즈음이었던 것 같아요. 그저 ‘그’ 사람들과 어울리는 게 좋았던 거고 나중에 무대에 서보니 아! 이것도 재밌네? 해서 연기를 시작했고, 군대 제대하고 본격적으로 연기를 더 해보고 싶다고 2002년도에 대학로 연우무대에 오디션을 보고 들어가 극단생활을 했죠. 물론 스무 살 때도 극회활동 하면서 군산 내에 있는 ‘사람세상’이라는 극단에 있었던 적이 있지만 이제 좀 마음이 다르더라고요. 남자들은 특히 군대 다녀오면 내가 뭘 먹고 살아야하나 하는 고민이 있잖아요. 그때 제 삶에 대한 책임감이 더 들었고 그런 고민을 시작한 게 서른 즈음이었던 것 같아요. 100: 극단 생활의 시작이기도 하지만 객지 생활의 시작이기도 하잖아요. 경제적인 어려움도 컸겠어요.송새벽: 그건 저 말고도 모든 대학로 연기자 분들이 다 마찬가지시고. 물론 아르바이트를 해야만 생활을 버틸 수 있는 환경이고. 그래서 이것저것 잡일도 많이 했죠. 100: 그렇게 힘들 때 버틸 수 있는 힘은 뭐였나요? 송새벽: 극단 식구들도 다 어렵잖아요. 벌이가 안 되니까. 어떤 선배는 결혼해서 애도 있고, 어떤 사람은 결혼을 아예 생각 할 수도 없고 그런 동료들과 함께 지내면 전우애보다 더 찐한 무언가를 나눴던 것 같아요. 서로 으쌰으쌰 했던 게 큰 버팀목이 되었던 거죠.100: 너무 힘들어서 다 때려치우고 고향으로 내려가자! 라고 생각한 적은 없으셨어요?송새벽: 그럴 법도... 한데. 단 한번도! 없었어요. 예전에 엄마가 저랑 제 여동생 키우실 때 이야기를 해주셨는데 지금 내가 겪고 있는 이 고통은 세발의 피, 네발의 피, 오발의 피구나. (웃음) 아무것도 아니더라고요. 가만히 보니까 잘 먹고 다니고, 잘 데 있고. 다만 결혼할 나이가 가까워지니까 책임져야 될 여자가 생긴다면 부담이 좀 있겠죠. 하지만 어쨌든 나는 행복한 거더라고요. 게다가 난 하고 싶은 일을 하고 있으니까. 좋았어요. 행복했어요. 자유로웠어요. <H3>“더도 말고 덜도 말고 송새벽으로서 할 수 있는 연기, 그게 다”</H3>
100: 지난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상영된 이난 감독의 영화 <평범한 날들>(‘Between’ 편)에 나오신 걸 봤어요. 좀 놀랐던 게, 그간 소비되었던 이미지와는 전혀 다른 사람이 그 스크린 위에 있더라고요. 송새벽: 아... 그 영화를 보셨다니.... 쑥스러워지네? (웃음) 100: 주인공 남자는 아이와 아내를 잃고 그 반복적인 평범한 날들의 일상을 견뎌내야 하잖아요. 유머도 없는 시종일관 황폐한 인물을 연기한다는 건 어떤 경험이었을까요?송새벽: <평범한 날들>의 시나리오를 딱 받았을 때 정말 나랑 닮은 구석이 많은 남자라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감독님에게 그런 말씀을 드렸더니 너는 결혼도 안하고 애도 없는데 뭐가 닮아? 하시는 거예요. 결국 부산에서 영화를 보니 비단 저 뿐이 아니라 이 시대 혹은 대한민국의 남자들과 닮은 모습이 많은 사람이었구나, 라는 걸 알았어요. 사회가 낳은 아들 같은. 그래서 가슴이 많이 아팠죠. 100: 마지막에 꿈처럼 나타난 아이와 조우하며 “내가 널 안아도 되겠니?”라고 하는 장면이 잊히지가 않아요. 송새벽: ... 저는 그 장면을 찍을 때... 너무 슬퍼서, 컷이 떨어졌는데도 계속 울고 앉아 있었어요. 내가 널 안아도 되겠니? 별말 아닐 수도 있는데 너무 하염없이 눈물이 나는 거예요. (잠시 침묵).... 울고 있는 저에게 감독님이 와서 미안하다는 말씀을 하시더라고요. 왜요? 라고 묻지는 않았는데, 아마도 제 생각에는, 우리가 이런 영화를 찍고 있고, 이런 이야기를 증명해야하고, 이런 슬픔을 견뎌내게 만들어서 감독으로 미안하다는 말씀이셨던 것 같아요. 100: 살면서 어떤 것을, 어떤 존재를 완벽히 잃어버렸구나 하는 기억이 있으세요? 송새벽: 3년 전에 거의 저를 키우시다시피 하신 친할머니, 외할머니 두 분 다 한 해에 돌아가셨어요. 그 한해가 저로서는 정말 힘들었죠. 무덤가에 뫼셨을 때 그야말로 다시는 만날 수 없는 존재가 된다는 건 이런 거구나라는 걸 느꼈어요. 장례식장에서 수의 입으시기 전에 할머니 이마를 딱 만졌어요. 일하는 아저씨가 시신 만지는 거 아니라고 말하는데, 나는 그저 할머니 이마가 생각보다 너무 너무 차다는 생각밖에 안 들었어요. 그 이마를 만지면서 한참 울었던 기억이 나네요. (하늘을 보며) ... 잘 계시죠? (웃음)100: 손자가 그동안 아주 성공하셨어요! 사실 송새벽 씨에게 2010년은 특별 할 수밖에 없잖아요. <방자전>으로 대한민국 영화대상, 대종상 영화제, 디렉터스 컷 어워즈 등등 2010년 신인상이란 신인상을 거의 독식하다시피 했고 CF도 찍고. 여기저기서 송새벽! 송새벽! 이런 한 해 이었는데요.송새벽: 저는 진짜로 시상식장만 가는 것도 좋겠다고 생각했어요. 한번은 후보에만 들었으면 좋겠어요, 라고 말씀드린 적이 있는데 정말 큰맘 먹고 한말이거든요. 사실 신인상이라는건 이민정 씨나 소지섭 씨, 강지환 씨처럼 주연급 신인에게 주어지는 게 대부분이잖아요. 그래서 상상도 못한 거예요. 그런데 연말에 상을 너무 많이 주셨잖아요. 아! 나한테 왜이러시지? 이래도 되나 하다가 그런데 또 언제 이래보나, 하고 (웃음) 100: 그 해를 지나고 보니까 단순히 경제적인 것만이 아니라 삶에서 좀 변화가 있나요? 부담도 좀 느셨을 것 같기도 하고. 송새벽: 진짜! 변화가 없어요. 정말. 변화도 없으니 부담도 없어요. 이를테면 연초에 길을 걸어가는데 아... 모자도 안 썼고 상도 받았고... 좀 알아봐 줄만도 한데 너어-무 못 알아봐주시더라고요. 그래서 이제 놨어요. (웃음) 뭘 알아봐야 변화가 있죠. 똑같아요. 물론 좋은 변화는 있어야겠죠.100: 그래도 그런 상들이 삶에 부담으로 오지 않았다니 다행이네요송새벽: 신경을 쓰지 않는, 아니 정확히 안 쓰려고 하는 것 같아요. 그런 거에 취하면 아무것도 없으면서 어깨에 기왓장이 올라가고 목에 깁스하고 그러다가 무너지는 배우도 여럿 봤고 그렇게 살고 싶지도 않고. 겸손 한 척이 아니라 진짜 겸손에 대해서 배우고 싶어요. 아, 진짜 겸손한 척, 하는 사람은 너무 재수 없잖아요.
100: 사실 이미 송새벽 말투라는 것이 대중들에게 인식될 만큼 유행이 되고 있는데 혹 이런 이미지가 그저 소비되고 끝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 혹은 본인 스스로의 경각심 같은 건 없으신가요. 혹은 우리들이 모르는 많은 다른 카드들이 준비되어 있나요. 송새벽: 저다운 뭐가 있다는 이야기조차 듣기엔 아직은 좀 이른 것 같아요. 물론 그런 충고나 걱정을 들을 때마다 저라고 왜 부담이 안 되겠어요. 나 그런가? 진짜 그런가? 그럼 어떡해야 되지. 스트레스를 좀 받기도 했던 것 같아요. 그런데 결론은 더도 말고 덜도 말고 송새벽으로서 할 수 있는 연기를 하자 그게 다 인 것 같아요. 100: 그게 오히려 어마어마한 스펙트럼일수도 있겠네요. (웃음) 혹 예전이나 지금이나 앞으로나 배우로서 살아가는 한 이것만은 지키고 가야겠다고 생각한 것이 있으세요?송새벽: 무대 아래부터 똑바로 살자. 무대 위나 카메라 앞이나 아래에서부터 이어진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거든요. 아래에서 쓰레기, 양아치처럼 살다가 무대 위에서 막 순진한 척 하면 관객들은 다 알아요. 어떻게든 미묘하게 다 보이거든요. 그걸 눈치 못 채게 하려고 아래서부터 잘 살아야겠다는 게 아니라 그렇게 사는 거, 재수 없잖아요. 어쨌든 제 인생인데. 그 나름의 진실들을 관객들이 보실 수 있는 흐뭇한 풍경이면, 저는 그저 족한 것 같아요. <10 아시아>와 사전협의 없이 본 기사와 사진의 무단 인용이나 도용, 전재 및 재배포를 금합니다. 이를 어길 시 민, 형사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10 아시아 글, 사진. 백은하 one@10 아시아 편집. 장경진 three@10 아시아 편집. 이지혜 seven@<ⓒ즐거움의 공장 "10 아시아" (10.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글, 사진. 백은하 one@ 편집. 장경진 three@ 편집. 이지혜 seve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