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銀 '현대그룹 대출 남아있다'

'주채권은행 지위 상실' 입장 반박

[아시아경제 박민규 기자] 현대그룹이 3일 외환은행의 주채권은행 지위가 상실됐다고 주장한 데 대해 외환은행은 "아직 대출금이 남아있어 주채권은행의 지위가 상실됐다는 건 어불성설"이라고 반박했다.이날 현대그룹은 보도자료를 내고 "계열사인 현대엘리베이터가 오는 12월 만기도래 예정인 외환은행 차입금 350억원을 지난달 30일 조기상환했다"고 밝히며 "외환은행과의 거래관계가 사실상 소멸돼 외환은행이 주채권은행으로서의 지위를 상실하게 됐다"고 주장했다.지난 6월 28일 현대상선이 외환은행 대출금 400억원을 갚은 데 이어 350억원을 추가로 상환해 총 750억원의 차입금을 상환한 것.하지만 여전히 외환은행 등 7개 금융기관이 지원한 신디케이트론 700여억원과 내년 1분기 만기도래 예정인 외화운영 차입금 200여억원의 외환은행 대출이 남아 있는 상태다.이외에도 신용공여(크레딧라인) 한도여신 100억원 등이 추가로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외환은행 관계자는 "아직 대출이 남아있는데 거래관계가 종결됐다고 하는 것은 어폐가 있다"며 현대그룹의 주장을 일축했다.현대그룹은 새로운 주채권은행으로부터 올 상반기 실적에 대해 다시 재무구조 평가를 받기를 원하고 있다.시중은행 관계자는 "주채권은행은 여신 규모 외에도 해당 기업과의 거래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게 돼 있다"며 "상환 가능한 대출금을 갚았다고 해서 주채권은행이 자동으로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박민규 기자 yushin@<ⓒ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금융부 박민규 기자 yushin@ⓒ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