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업종, 저점 찍고 4Q 플러스 성장<전경련>

[아시아경제 김혜원 기자] 국내 주요 업종 경기가 대부분 저점을 통과해 4ㆍ4분기 플러스 성장이 예상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다만 글로벌 경제 위기로 인한 급격한 경기 위축에 따른 반등 효과로 지난 2007년 수준에는 못 미칠 것이란 전망이다.
27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18개 주요 업종 단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2009년 3분기 산업 동향 및 4분기 전망'에 따르면 전자, 반도체, 타이어, 제지, 일반기계, 시멘트 등 대부분 업종의 산업 경기가 저점을 통과한 것으로 평가됐다.반면 철강, 섬유, 석유화학, 자동차는 아직 본격적인 반등은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조선은 여전히 경기가 하강 중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경기 회복 형태에 대해서는 자동차, 일반기계, 섬유 등 과반수의 업종에서 저점 통과 후 점진적인 회복을 예상한 반면 전자, 반도체, 석유화학은 저점 통과 후 반등을 시작한 것으로 전망했다.다만 건설과 조선은 경기 침체 상태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란 우려가 많았다. 이는 민간 주택시장의 부진과 신규 발주 물량이 올 들어 급감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철강의 경우 올해 말까지 완만한 상승 후 내년 상반기 다시 경기가 하강하는 더블 딥을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4분기엔 대부분 업종에서 3분기에 이어 생산 증가 추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이지만 자동차, 공작기계 등은 큰 폭으로 생산 감소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업종별로는 자동차가 3분기 생산이 3.9% 증가했지만,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부분 파업으로 인한 실적 악화에 따른 상대적인 영향인 것으로 분석됐다. 4분기에는 미국과 서유럽을 비롯한 주력 시장의 위축으로 수출이 25.9% 감소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생산량 감소도 18.9%에 달할 것 전망됐다.전자는 3분기 생산이 7.8% 감소했지만 환율 효과에 따른 수출액 증가로 전기 대비로는 8.9% 증가했다. 4분기는 점진적인 경기 회복에 따른 내수 증가, 해외시장 수요 확대로 내수와 수출이 각각 6.0%, 29.0% 증가하고 생산도 7.3%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는 주력 수출 상품인 메모리 단가의 회복에 힘입어 4분기 생산은 49.6%의 대폭적인 증가가 예상된다.석유화학은 대중국 수출 호조에 힘입어 3분기 생산이 7.1% 증가했지만 4분기에는 중국과 중동을 비롯한 경쟁국의 신규설비 가동으로 4.2% 증가에 그칠 전망이다. 비철금속은 중국 수요의 급증으로 3분기 생산 11.9%, 수출 11.3%나 증가했으며 이 같은 추세는 4분기에도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조선은 2년 이상의 조업 물량을 확보하고 있어 4분기에도 생산과 수출 모두 두 자릿수의 증가가 예상된다. 그러나 전 세계적인 물동량 감소에 따른 신규 발주량 급감으로 인해 향후 경기에 대한 불안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3분기 건설수주는 공공부문 수주 확대에 힘입어 14.8% 증가했지만 4분기에는 지방 주택경기 침체와 수도권 DTI 규제 등 강화로 수주액이 4.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전경련 관계자는 "현재 경기가 저점을 통과한 것으로 보이나 철강, 전자, 일반기계와 같은 업종은 아직 2007년 생산 수준에 미치지 못 한다"고 설명했다.이어 "올해 상반기에는 각국 정부의 경기 부양 정책이 효과를 나타냈지만 4분기에는 추가적인 재정 지출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돼 아직은 경기 회복을 논하기는 어렵고 4분기 실적 전망이 좋은 것은 지난해 말 경기 침체에 따른 기저효과의 영향도 크다"고 지적했다.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김혜원 기자 kimhy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