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전망] 담그자니 뜨겁고 빼자니 아쉽고

경기회복 뚜렷하나 새로운 모멘텀 될지는 의문..과열국면 해소과정 필요할 듯

"지금 주식을 팔라고 하면 미친 X 소리 듣겠죠?"한 애널리스트의 하소연에서 현재 시장에 대한 고민이 느껴진다. 투자자들이 가장 관심이 있는 부분은 주식을 살까, 혹은 팔까 둘 중 하나다. 이미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른 만큼 어느 정도 이익을 낸 투자자들은 지금 주식을 팔아야 할 시점인지, 아니면 매수 진입기회를 놓친 투자자들은 더 오르기 전에 매수에 나서야 할지 고민스럽기만 하다. 소위 증시 전문가로 불리는 애널리스트도 이 고민에서 자유롭지는 않은 듯 하다. 그도 그럴 것이 주식을 팔라고 하면 오히려 이상하게 볼 정도로 시장의 심리는 강하고, 또 주변환경도 크게 개선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미 쉬지않고 달려온 만큼 과열국면에 도달해있는 것도 사실이니 투자자나, 애널리스트나 고민이 이만 저만이 아닌 셈이다. 일단 시장의 주변 여건을 보자. 지난 새벽 뉴욕증시에서 S&P와 나스닥, 다우지수는 모두 나름대로 의미있는 저항선을 뚫고 올라섰다. 시장의 심리가 더 강해질 수 있는 부분이다. 이들 지수가 저항선을 뚫고 올라갈 수 있었던 이유는 경기가 눈에 띄게 회복되고 있기 때문이다. ISM 7월 제조업지수가 당초 예상치인 44.8을 훌쩍 뛰어넘는 48.9로 발표됐고, 6월 건설지출 역시 -0.5%로 예상됐지만 오히려 0.3% 증가하는 등 깜짝쇼를 벌였다. 여기에 포드자동차가 2007년 이후 처음으로 전월대비 판매량이 증가하는 등 자동차 산업이 회복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자동차의 경우 주택 다음으로 고가의 소비제품인 만큼, 미국의 소비시장이 회복되고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물론 박수를 칠만한 뚜렷한 호재다. 호재를 폄하할 의도는 없지만 마냥 박수치고 좋아하기에도 어딘가 찜찜한 구석이 있다. 경기지표가 개선되고 있는 것은 새로운 일은 아니다. 예상보다 큰 폭으로 개선되면서 경기회복이 뚜렷해지고 있다는 확신을 줄 수는 있겠지만, 이미 같은 호재로 강한 탄력을 보여온 현 시점에서 이것이 새로운 모멘텀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 포드자동차의 판매량이 증가했다고 해서 자동차 산업이 회복되고 있다고 단정짓기에는 무리가 있다. 미 정부가 강력한 세제지원 혜택을 제공한 덕분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최근 미 정부가 '중고차 현금보상 프로그램'의 규모를 20억달러를 추가 투입하는 방안을 논의하는 것도 이 프로그램의 효과가 상당했기 때문이다. 이같은 정부의 지원 정책 역시 자동차 산업이 안정적으로 회복되는 과정이긴 하겠지만, 주가가 큰 폭으로 오른 현 시점에서 새로운 호재로 받아들이기에는 무리가 있다. 전날 발표된 국내 소비자 물가지수 역시 1%대로 낮아졌다는 점이 호재가 됐지만, 7월이 소비자 물가의 저점일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인플레에 대한 부담은 점진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당장 한국은행이 금리를 인상하거나 하는 출구전략으로 이어지지는 않겠지만, 이같은 물가변수는 통화정책에 있어 점차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이다.
국내증시만 보더라도 단기적으로 과열 신호가 나타나고 있다. 우리투자증권에 따르면, 최근 15거래일 중 14거래일간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여왔고, 지수 상승률이 13.6%에 달하는 등 단기급등에 대한 우려가 커진데다, 단기 기술지표인 Stochastic이 5일 연속 과열권에 머물면서 2001년 이후 단기 과열신호가 가장 강한 국면임을 나타내고 있다.물론 지난 2005년과 2007년의 경우에서 알 수 있듯이 경기확장국면 속의 KOSPI 단기 강세와 과열권 진입이 조정의 시작을 의미하지는 않겠지만, 과열 해소의 필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주식시장의 추가 상승 여부를 의심하는 것이 아니다. 마이크 스탠필드 VSR 수석 연구원이 "아시아가 전세계를 경기침체의 늪에서 구해줄 것"이라고 평가했듯이, 아시아 증시, 특히 경쟁력 높은 기업들이 포진해있는 국내증시의 상승 여력은 더욱 강할 수 있다. 다만 속도의 문제이다. 이미 주가가 급격하게 오른 현 시점에서 이같은 상승탄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고민이다. 방향성이 분명한 만큼 애써 발을 뺄 필요는 없겠지만, 새로 발을 담그기에는 좀 뜨거운 것이 사실이다. 김지은 기자 jekim@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자본시장부 김지은 기자 je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