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계기업 3126곳…중소기업이 85% 차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6초

"한계기업 3126곳…중소기업이 85% 차지" 13AI ¼­¿i ¿ⓒACμμ Aß¼O±a¾÷Aß¾OE¸¿¡¼­ μ¿¹Y¼ºAaA§¿øE¸¿I Aß¼O±a¾÷CÐE¸, Aß±aAß¾OE¸°¡ °øμ¿ AOAOCN 'μ¿¹Y¼ºAa ´eAa·ÐE¸'°¡ ¿­·E´U.
AD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비용도 내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6년새 30%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 소속 정유섭 자유한국당 의원이 한국은행과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한계기업 수는 3126개로 국내 외부감사 대상법인의 14.2%에 달했다.


한계기업이란 영업이익을 이자비용으로 나눈 지표인 이자보상배율이 3년 연속 1미만인 기업으로,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다 내지 못하는 상태가 3년째 지속됐다는 의미다.

2010년 2400개이던 한계기업은 2011년 2604개, 2012년 2794개로 늘었으며, 2013년 3034개로 3000개를 돌파했다.


이어 2014년 3239개, 2015년 3278개로 꾸준히 늘어나다 지난해 소폭 감소했다.


그러나 지난해 전체 한계기업의 85.3%인 2666개가 중소기업으로 전체 중소기업의 14.6%가 이자조차 못 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기업은 한계기업 비중이 12.4%였다.


특히 지난 7년 동안 한계기업 경험이 있는 7545개 기업 중에서 다시 한계 상황에 봉착한 기업이 4972개(65.9%)에 달해 한계상황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만성적 한계기업의 84.3%인 4191개가 중소기업이며 지난 7년 내내 한계기업으로 있는 기업도 전체의 6.7%에 달하는 504개에 달했다.


2회 이상 한계기업 경험이 있는 만성적 한계기업의 업종별로 보면 부동산업이 1130개(21.3%)로 가장 많았고, 도소매업 401개(7.9%), 건설업 392개(7.8%), 전기전자업 346개(7.7%), 기계장비 196개(4.8%) 순으로 나타났다.


한계기업 중 매출액이 없는 기업도 872개로 11.6%이며, 이중 89.0%가 중소기업이다.


정유섭 의원은 "부실에 빠진 기업들이 다시 회생할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선다고 했지만 상황은 전혀 나아지지 않고 있다"며 "정부는 고강도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