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정현진 기자] 우리나라의 극심한 인구 고령화가 부동산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22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인구 고령화가 가계부채에 미치는 영향과 잠재리스크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한은은 보고서를 통해 "인구 고령화와 함께 베이비부머(1955~1963년 출생) 세대 등이 은퇴 이후 금융부채 디레버리징(부채 축소)에 적극 나설 경우 부동산 시장의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있다"고 지적했다.
부채를 줄이기 위해 고령층이 부동산 등 실물자산을 처분할 가능성이 높아 부동산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부동산 시장에서 수급 불균형이 발생하면 부동산 가격 하락 압력이 커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부동산 핵심 수요층인 '자산축적연령인구'(35∼59세)는 2018년 이후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추정했다.
전체 인구에서 자산축적연령인구의 비중은 내년에 40.4%를 기록했다가 10년 동안 3.8% 포인트 하락할 것으로 예상됐다.
실제 한은이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부채·자산·소득의 변화를 연령에 따라 동태적으로 분석한 결과, 가계는 금융부채(임대보증금 제외, 이하 동일)를 57세까지 확대하다가 1차 은퇴 직후인 58세 이후 축소해나가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1차 은퇴 직후인 58~64세 때보다 2차 은퇴 시기인 65세 이후 실물자산을 처분하면서 금융부채가 크게 축소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가구당 평균 금융부채 보유규모(2014년 3월 말 기준)가 50대까지는 증가했다가 60대 이후 감소했다. 또 금융부채 보유가구 비중도 50대 65.1%에서 60대48.2%, 70대이상 20.8%로 급격히 하락했다. 연령대가 높을수록 점차 빚을 갚고 있는 것이다.
처분가능소득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하 금융부채 비율)과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50대 이후 꾸준히 감소해 부채 조정이 이뤄지고 있다.
보고서는 "인구 고령화의 가계부채 영향은 향후 3~4년 후부터 점차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고령화 이슈는 단기 대응이 어려운 만큼 가계부채 관리 지속, 부동산 금융 활성화, 고령층 맞춤형 일자리 창출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