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전대룰 논란, 박근혜·소장파 완승...당권경쟁 본격화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9초

[아시아경제 김성곤 기자]한나라당이 7.4 차기 전당대회 경선 룰을 둘러싼 지루한 논란에 종지부를 찍었다. 박근혜 전 대표와 소장파의 완승으로 전대 룰 논란이 마무리되면서 한나라당은 이제 본격적인 당권경쟁 국면에 접어들었다. 이르면 이번 주말을 시작으로 당권주자들의 출마 선언이 러시를 이룰 것으로 예상된다. 여론조사 30% 반영 및 1인2표제를 근간으로 하는 전대룰이 확정되면서 당권주자들의 유불리도 보다 명확해졌다.


◆전대룰 1·2차 대전 박근혜·소장파 완승...후폭풍은 여전

한나라당의 전대룰 갈등은 1,2차로 나눌 수 있다. 1차 대전은 당권·대권 분리 조항이었다. 현행 규정으로는 차기 대선주자들의 전대 출마가 불가능하다. 김문수 경기지사와 정몽준 전 대표는 당권·대권 통합을 주장하며 전대 출마를 고려했지만 실패했다. 박근혜 전 대표가 당권·대권 통합에 명확한 반대 입장을 밝혔기 때문이다. 2차 논란은 비상대책위원회가 마련한 여론조사 폐지와 1인1표제 도입 문제였다. 비대위는 지난 2일 전대 선거인단이 21만명 수준으로 확대돼 조직선거가 불가능한 만큼 표의 등가성 문제를 고려해 여론조사를 폐지하고 1인1표제 도입을 골자로 하는 전대 룰을 의결했다. 당내 쇄신흐름을 주도하는 소장파는 여론조사 폐지와 1인1표제 도입은 조직력이 우세한 특정후보를 위한 맞춤형 룰이라고 반발했다. 친박계로 불편한 기색을 보였다. 한나라당은 7일 전국상임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개최해 현행 당헌·당규대로 여론조사 30%를 반영하고 1인2표제를 그대로 유지하기로 했다.

우여곡절 끝에 전대 룰이 확정됐지만 후폭풍은 여전하다. 전국위 논의 과정에서 참석자들끼리 고성이 오가는 등 파행을 빚었기 때문이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8일 비대위 결정을 번복한 전국위 결정과 관련, "어제 전국위 회의 운영이 적법하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 재의를 요청할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민심반영이라는 명분에도 여론조사 30% 반영은 표의 등가성에 엄청난 문제가 있다는 비판도 끊이지 않고 있다.


◆여론조사 30% 1인2표제, 누가 울고 누가 웃나?


논란 끝에 전대 룰이 확정되면서 차기 당권을 둘러싼 주요 주자들의 경쟁도 본격 막이 올랐다. 특히 여론조사 30%를 반영하고 전대 선거인단이 1만명 수준에서 21만여명으로 늘어나면서 대중적 인지도를 갖춘 주자들에게 유리한 국면이 조성됐다. 당 안팎에서는 홍준표·나경원 전 최고위원이 최대 수혜자는 평가가 나온다. 홍 전 최고위원은 최근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의 한나라당 차기 당 대표 적합도 조사에서 18.8%의 압도적인 지지율로 1위를 기록했다. 나 전 최고위원 역시 지난해 7.14 전대 여론조사 1위를 기록할 만큼 탄탄한 대중적 인기를 과시했다. 원내대표 경선과 전대룰 결정 과정에서 존재감을 확인한 소장파 역시 바람몰이를 기대할 수 있게 됐다. 소장파의 유력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남경필 의원은 1인2표제로 고리로 친박 진영과의 연대에 성공할 경우 다크호스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다. 반면 김무성 전 원내대표는 당권도전에 비상등이 켜졌다. 구주류인 친이계의 탄탄한 조직적 후원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친이계 주자로 거론되는 원희룡 전 사무총장 역시 마찬가지 상황이다. 아울러 재보선 이후 당내 신주류로 부상한 친박계에서는 유승민 의원의 출마가 점쳐진다.


한편, 유력 주자들이 출마 여부를 심각하게 고민 중인 가운데 군소후보들의 출마 선언도 곧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정치일번지 서울 종로에서 내리 3선을 기록한 박진 의원은 물론 정몽준계 재선인 전여옥 의원, 친이계인 심재철 전 정책위의장은 출마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김성곤 기자 skzero@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