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6개 건설사 구조조정 확정... 거센 '후폭풍'

[아시아경제 이은정 기자] 16곳의 건설사 퇴출, 워크아웃 결정이 확정되면서 건설업계가 강력한 후폭풍을 맞고 있다.


당장 퇴출 결정으로 자금지원이 중단될 위기에 처한 D등급 건설사 7곳은 물론 9곳의 워크아웃 대상 기업들은 벌써 구조조정 방안을 마련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주택거래가 실종된 상황에서 부실업체의 과감한 퇴출 결정으로 건설사는 물론 레미콘 시멘트 철강 등 제조업, 금융권의 연쇄 부도도 우려된다.


◆워크아웃 건설사 구조조정 방안 모색 비상

이날 채권은행으로부터 C등급 판정을 받은 9개 건설사들은 비상 사태를 선포하며 채권은행과 워크아웃 절차 과정을 논의하는 등 부산한 모습을 보였다. 워크아웃은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의 신뢰를 바탕으로 채권단 공동 관리를 통해 기업을 정상화하는 회생방식이다. C등급을 받은 건설사들은 실사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기업개선계획안(워크아웃 플랜)이 포함된 자율약정을 체결하게 된다.


워크아웃 등급을 받은 A업체 관계자는 "C등급을 받았지만 실사 과정을 통해 워크아웃 대상에서도 탈락할 수도 있다"며 "혹시라도 실사 과정에서 탈락한다면 회사 존립 자체가 흔들릴 수 있기 때문에 이른 시일내 워크아웃 결정을 받을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워크아웃 결정이 내려지더라도 사업에 심각한 타격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은 우려되는 대목이다. 워크아웃 이후 보증기관으로부터 제때 공사 관련 보증서를 발급받지 못해 신규 공사 수주는 물론 기존 공사대금을 제때 받지 못할 수 있다. 기존 아파트 계약자들의 불안감도 해소시켜야 한다. 이미 워크아웃 대상 업체로 소문난 건설사에 아파트 계약자들의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


워크아웃 등급을 받은 B업체 관계자는 "워크아웃은 부도와 다르고 공사가 제대로 진행된다고 답변해도 계약자들은 불안해하고 있다"며 "준공 후 미분양 물량 판매가 더 어려워졌다"고 토로했다.


반면 퇴출결정을 받은 D등급 건설사들은 망연자실 한 분위기이다.


◆협력사도 불안감 증폭


퇴출이나 워크아웃 결정을 받은 건설사의 협력사도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건설업이 원도급 업체인 종합건설사와 하도급을 받는 전문건설사, 레미콘·시멘트·철강·자재 등의 제조업, 설계·감리 등의 용역업 등이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는 탓이다. 즉 퇴출 판정이 내려진 회사가 정리절차를 밟으면 관련 사업장을 포기할 수밖에 없고 협력사들도 정리 수순을 밟을 수 밖에 없는 구조다.


실례로 IMF 금융위기 당시 동아건설(2000년 시공능력 8위)의 부도로 협력업체 총 1300여개사 중 389개 하도급업체가 줄줄이 도산한 바 있다. 당시 피해액은 7300억원이 넘는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 3월 법정관리에 들어간 성원건설(2009년 시공능력 58위) 협력업체들의 피해액도 1000억원이 넘는다.


대한전문건설협회는 이같은 사례를 비춰볼때 300대 건설사의 10%(30곳)가 워크아웃 또는 부도 처리 될 경우 3548개 협력사가 2조1600억원의 피해를 입고 이 가운데 1335개 하도급 업체가 연쇄부도를 낼 수 있다는 전망을 하기도 했다.


◆속 끓는 아파트 분양 계약자


구조조정 대상 건설사 아파트를 분양받은 입주예정자들도 불안에 떨게 됐다. 퇴출 대상이 된 건설사의 경우 채권금융기관의 지원 없이 자체 정상화를 추진하거나 통합도산법에 따른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할 가능성이 크다.


만약 회생절차에 들어가게 되면 시행사업장은 사고사업장으로 분류, 대한주택보증이 분양보증을 이행하게 된다. 계약자들은 아파트를 끝까지 지어받거나 분양대금을 돌려받게 된다.


◆금융권도 후폭풍에 '죽을 맛'


저축은행 자산운용사 등 PF대출 비중이 높고 건설사 회사채를 보유한 금융기관들도 후폭풍을 피하긴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건설사 신용위험이 불거지면서 대출 및 회사채 편입요건을 강화하긴 했지만 이미 보유한 채권의 경우 신용등급 하락으로 어느 정도의 손실이 불가피하다. 건설사 익스포저가 큰 캐피탈사들도 자금조달에 차질이 예상된다.


건설업계는 이에 따라 구조조정의 후폭풍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분양가 상한제 폐지와 부동산 대출규제 완화 등 거래와 공급을 옥죄고 있는 규제부터 풀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회생 가능성이 높은 회사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권주안 주택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정부가 7곳의 건설사를 퇴출시킨다고 결정한 것은 건설업의 경착륙을 선택했다는 의미다"며 "시장 상황이 악화된 상태서 구조조정이 진행된다면 그 파장은 걷잡을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구조조정을 하되 지원을 통해 살아날 수 있는 회사라면 정부가 과감하게 지원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아시아경제 증권방송] - 무료로 종목 상담 받아보세요


이은정 기자 mybang21@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