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설악산 '추락사 시신 사진' 안내판, 논란 커지자 '교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0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사진 대신 그림 넣은 새 안내판 설치

설악산 국립공원에 설치된 출입금지구역 안내판에 피 흘리는 추락사 시신 사진을 그대로 써 논란이 되자 18일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가 해당 안내판을 철거하고 새 안내판으로 교체했다.

설악산 '추락사 시신 사진' 안내판, 논란 커지자 '교체' 설악산국립공원이 새로 설치한 안내판[사진출처=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
AD

앞서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는 지난 5월 설악산 토왕성폭포 인근 산길에 설치한 안내판에 해당 구간이 출입금지구역이라는 것을 알리면서 추락사 사고 모습을 촬영한 것으로 보이는 사진 2장을 사용했다.


이 안내판 상단에는 '잠깐! 이래도 가셔야겠습니까?'라는 문구가 있고, 그 아래에는 "현재 이 구간은 출입금지구역입니다. 매년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는 매우 위험한 지역입니다"라고 쓰여 있다. 이 문장 아래에는 2장의 사진을 게시했다. 등산객으로 추정되는 사진 속 인물들은 각각 흙바닥과 큰 바위 위에 쓰러져 있는 모습으로 팔다리가 꺾이고 주변에는 핏자국까지 선연했다. 또 이 사진들은 별도의 모자이크 처리도 하지 않았다. 사진 하단에는 "생명을 담보로 한 산행은 가족에게 불행을 줍니다. 정규 탐방로를 이용하세요"라는 문장이 적혀 있었다.


이 안내판에 대해 누리꾼들은 "사진의 수위가 너무 높다", "유족에게 사전 허락을 받지 않고 고인의 사진을 무단 사용한 것이라면 문제가 된다", "담뱃갑 경고문처럼 위험한 장소에 못 가게 막으려면 이 정도 수위의 사진을 사용해야 한다"는 등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특히 해당 구간은 일반 등산객이 출입하는 곳이 아니라 사전에 국립공원을 통해 허가받은 암벽 등반객 등이 이용할 수 있는 구간이라, 논란이 된 안내판을 본 사람이라면 이미 무단출입을 한 등산객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다소 강도 높은 사진을 사용한 것이 이해된다는 의견도 많다.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는 중앙일보에 "불법 산행 단속 업무 시 혐오스러운 안내판을 보고 산행을 포기하는 탐방객을 현장에서 만나기도 했다"며 "다만 안내판으로 인해 논란이 불거진 점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 현재는 안내판을 철거하고 새로운 안내판으로 교체했다"고 전했다.



새로운 안내판에는 "이곳은 위험지역으로 암·빙벽 등반 허가자만 출입할 수 있습니다. 출입금지 위반 시 자연공원법에 따라 과태료 부과"라는 문구와 함께 사진 대신 그림이 담겼다.




김현정 기자 khj27@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