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與당권주자 탐구]④'보수혁신' 윤상현, 승리 DNA 되살릴까

시계아이콘01분 21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험지 승리 경험은 장점
정치·외교 전문성…율사 출신 후보들과 차별성

"당 중앙을 폭파해 혁신해야 한다"


국민의힘 당 대표에 도전하는 윤상현 후보는 끊임없이 보수 혁신과 당 개혁을 주장하고 있다. 그의 출마 선언문에서도 '혁신'이란 단어가 17번이나 등장했다. 수도권 험지 인천에서 매번 살아남은 윤 후보는 "이기는 선거를 해본 사람만이 이기는 정당을 만들 수 있다"고 강조한다. 윤 후보는 지난 전당대회에서 컷오프당한 아픔을 떨쳐내고 보수를 혁신하고, 이기는 정당을 만들겠다는 목표를 이룰 수 있을까.


[與당권주자 탐구]④'보수혁신' 윤상현, 승리 DNA 되살릴까
AD

윤 후보는 총선 직후부터 '보수혁신 대장정'이란 이름의 세미나를 10차례 열었다. 그는 지난 20일 10번째 세미나에서 "국민의힘이 1987년 체제 이후 집권당 사상 최악의 참패를 당하고도 처절한 반성과 혁신에 나서지 않고 있다"며 "그동안 열 차례나 세미나를 개최하며 치열하게 총선 반성문을 써왔던 이유는 당과 대통령이 성공하고 나 자신의 정치적 생존을 위해서도 꼭 필요한 길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보수 혁신을 염원하는 윤 후보 앞엔 낮은 인지도라는 약점과 '여론조사 최하위'라는 위기가 놓여있다. 스트레이트 뉴스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22일부터 24일까지 3일간 조사한 '국민의힘 차기 당대표 적합도' 조사 결과에 따르면 윤 후보는 6%로 네 후보 중 가장 낮은 적합도를 기록했다. 나경원 원희룡 한동훈 후보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인지도도 걸림돌이다. 신율 명지대학교 교수는 통화에서 "나 후보는 원내대표를 했고, 한 후보는 당 대표를 한 것과 마찬가지다. 원 장관은 예전부터 대선 후보로 언급돼 상당히 인지도가 높다"며 "윤 후보는 (인지도가) 조금 빠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인지도가 약하다는 것 말고 뚜렷한 약점은 없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수도권 중진이라는 이력과 외교·정치적 감각은 윤 후보의 강점이다. 국민의힘은 22대 총선에서 수도권 122석 중 19석밖에 얻지 못했을 정도로 참패를 당했다. 윤 후보 지역구가 포함된 인천에서도 14석 중 2석을 얻는 데 그쳤다. 수도권 험지에서 보여준 윤 후보의 승리가 돋보이는 이유다. 그는 이전 두 번의 총선에서도 험지 인천에 무소속으로 출마해 생환한 바 있다. 윤 후보는 율사 출신인 다른 세 명의 후보들과 달리 경제학과 외교학, 정치학을 전공했다. 20대 국회에선 외교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맡았을 정도로 외교·정치적 감각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지지율은 밀리지만, 선거 초반이라는 점과 결선투표는 윤 후보에게 기회가 될 수 있다. 각 후보가 '채상병 특검법'과 '핵무장론' 등 현안에 의견을 내는 상황에서 표심에 변동이 생길 수 있다. 한 후보가 각종 여론조사에서 1위를 기록하고 있지만, 1차 투표에서 과반을 얻지 못한다면 결선 투표로 가게 된다. 윤 후보 캠프 측 인사는 "결선 투표를 하게 되면 후보들이 어떻게 연대하느냐가 관건"이며 "향후 후보들 간 토론회에서 TK·PK 표심이 어떻게 반응할지 등을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




최영찬 기자 elach1@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