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LG 구광모, 북미 현장 점검…"도전과 도약의 빅 스텝 만들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4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반도체 전설' 짐 켈러도 만나
AI 생태계 전반 살피고 주요 CEO들과 의견 교환
실리콘밸리서 미래 준비 현황 둘러봐
테네시서 통상정책 대응 점검도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지난 17일(현지시간)부터 나흘간 미국 테네시와 실리콘밸리를 찾아 북미 사업 전략을 점검하고 미래성장동력인 인공지능(AI)·바이오·클린테크(ABC) 분야의 준비 현황을 살폈다. 지난해 8월 이후 10개월 만의 미국 출장이다.


LG 구광모, 북미 현장 점검…"도전과 도약의 빅 스텝 만들자"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AI 반도체 설계 업체 '텐스토렌트'의 CEO '짐 켈러'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LG 제공
AD

23일 LG그룹에 따르면, 구 회장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AI 반도체 설계업체 텐스토렌트와 AI 휴머노이드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 AI를 찾아 반도체 설계와 로봇 등 AI 가치사슬(밸류체인) 전반을 둘러봤다. 특히 지난 20일 텐스토렌트에서 '반도체 전설' 짐 켈러 최고경영자(CEO)를 만났다. 구 회장은 그로부터 AI 반도체의 트렌드와 텐스토렌트의 기술에 대한 설명을 듣고, AI 확산에 따른 반도체 산업 영향에 대한 의견을 나눴다.


캐나다 토론토에 본사를 둔 텐스토렌트는 2016년 AI 반도체를 개발하는 팹리스 스타트업으로 출발해 IP 라이센싱(특허 기술 대여)과 고객 맞춤형 칩렛(Chiplet·하나의 칩에 여러 개의 칩을 집적하는 기술) 설계를 주력으로 하고 있다.


구 회장은 피규어 AI도 방문해 브렛 애드콕 창업자 겸 CEO를 만나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 현황과 기술 트렌드에 대한 설명을 듣고 지난 3월 공개돼 화제가 된 피규어 AI의 휴머노이드 로봇 '피규어 원'이 구동하는 모습을 살펴봤다. 피규어 AI는 마이크로소프트, 오픈AI, 엔비디아, 아마존 등이 투자해 주목받은 스타트업이다.


LG는 이번 구 회장의 출장 일정에 대해 "AI가 향후 모든 산업에 혁신을 촉발하며 사업 구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구 회장의 평소 생각이 반영된 행보"라고 설명했다. 구 회장은 지난해 8월 북미 방문에서도 캐나다 토론토에서 벡터 연구소와 자나두 연구소를 찾아 AI 분야 최신 기술 동향을 살핀 바 있다.


LG 구광모, 북미 현장 점검…"도전과 도약의 빅 스텝 만들자"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미국 실리콘밸리에 위치한 로봇 개발 스타트업 '피규어 AI(Figure AI)'에 방문해 휴머노이드 로봇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LG 제공
LG 구광모, 북미 현장 점검…"도전과 도약의 빅 스텝 만들자"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미국 테네시에 위치한 LG전자 생활가전 생산공장을 찾아 스마트팩토리 기술이 적용된 생산라인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LG 제공

구 회장은 실리콘밸리에서 글로벌 스타트업 인큐베이팅 역할을 하고 있는 LG테크놀로지벤처스도 찾아 지금까지의 투자·사업 개발 현황을 보고받고 구성원을 격려했다. LG테크놀로지벤처스는 LG가 2018년 실리콘밸리에 설립한 기업형 벤처캐피탈(CVC)로, LG 주요 계열사 7곳이 출자해 조성한 1조원 규모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다.


구 회장은 인월드AI, 에코 헬스, 사우스 8 테크놀로지스 등 LG테크놀로지벤처스가 투자한 스타트업 제품과 기술 등을 살피고, LG의 미래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스타트업 투자 포트폴리오 전략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LG전자 북미이노베이션센터(LG NOVA)도 찾아 외부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신사업 모델을 만들고 직접 사업화를 추진하는 아웃사이드-인(Outside-in) 방식으로 새로운 변화를 만드는 시도를 격려하고 신사업 개발 추진 현황 등을 들었다.


구 회장은 이 자리에서 "신사업은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솔루션으로 인정받아야 하며 결국 변함없는 성공의 키는 차별화된 고객가치에 달려있다"며 "이를 통해 성공 사례를 만들어 더 많은 스타트업과 파트너들이 LG를 찾아오고, 새로운 사업 모델이 지속 발전돼 나가는 선순환을 만들어 가자"고 말했다.


LG 구광모, 북미 현장 점검…"도전과 도약의 빅 스텝 만들자"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미국 실리콘밸리에 있는 LG테크놀로지벤처스에 방문해 LG테크놀로지벤처스가 투자한 주요 스타트업의 기술을 자세히 살펴보고 있다. 사진=LG 제공

이에 앞서 테네시를 찾은 구 회장은 LG전자 등 주요 계열사의 북미 현지 사업 전략을 점검했다. LG는 지리적으로 배터리와 양극재 등의 사업에 최적의 조건을 갖춘 테네시를 북미 시장 공략을 위한 전진기지로 삼고 있다.


구 회장은 류재철 LG전자 H&A사업본부장(사장), 정규황 북미지역대표(부사장) 등과 함께 LG전자 테네시 공장을 찾아 미국 시장의 고객·경쟁·유통 변화, 통상 정책 등 사업 환경 변화에 따른 대응 시나리오 등을 논의했다. 로봇 자동화, 무인 물류 등 스마트팩토리 기술이 적용된 세탁기, 건조기 생산라인도 살폈다.


LG에너지솔루션과 제너럴모터스(GM)의 합작법인 얼티엄셀즈 제2공장도 찾아 북미 전기차 시장 전망과 주요 고객사 동향에 관한 설명을 듣고 배터리, 양극재 등 전장 부품 사업 포트폴리오 운영 계획과 투자 전략을 점검했다.


구 회장은 "시장·고객 트렌드, 경쟁 구도, 통상 정책·물류 등 사업 환경의 변동성은 모두가 동일하게 마주한 상황"이라며 "이를 잘 극복하기 위해 차별적 고객가치 제공을 위한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 공급망 구축, 공정 혁신, 현지화 역량 등 근본 경쟁력을 강화해 다시 한번 도약할 기회를 만들어 나가자"고 주문했다.



구 회장은 코로나19 시기인 2020년과 2021년을 제외하고 취임 이듬해인 2019년부터 매년 북미 시장을 찾아 현장 경영을 해왔다. 구 회장은 이번 북미 출장 기간에 직원들과 총 6차례 만나 "여러분의 노력과 헌신에 감사드린다"며 "자신감과 자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 또 "지속 성장의 긴 레이스에서 이기기 위해 도전과 도약의 빅 스텝을 만들어 나가자"고 강조했다.




김형민 기자 khm193@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