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조정론에도…엔비디아,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등극(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시가총액 3조3400억달러로 1위 올라
설립 이후 31년만에 MS·애플 제쳐
주가 지난해부터 지금까지 9배 폭등
생성형AI 붐 촉발…칩 수요 확장 지속
월가 "장밋빛 전망 계속" 투자비중 늘려

조정론에도…엔비디아,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등극(종합)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엔비디아가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에 등극했다. 월가는 인공지능(AI) 붐이 빅테크(대형 정보기술 기업)에서 각 산업계·정부로 확장된 데 따른 AI 칩 수요로 엔비디아 주가 전망을 계속해서 높이는 모양새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엔비디아는 3.51% 상승 마감해 시가총액이 3조3400억달러를 돌파했다. 올 초부터 시총 1위 자리를 놓고 엎치락뒤치락하던 마이크로소프트(MS·3조3200억달러), 애플(3조2800억달러)은 각각 시총 2·3위 기업으로 밀려나게 됐다. 1993년 설립된 엔비디아가 시총 1위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조정론에도…엔비디아, 세계에서 가장 비싼 기업 등극(종합)


엔비디아는 초기 3D 비디오 게임을 구동하는 컴퓨터 그래픽처리장치(GPU)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시작했고 1990년대 후반부터 게이머들 사이에서만 유명한 기업에 불과했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전 세계적인 생성형 인공지능(AI) 붐이 불며 거대언어모델(LLM) 학습 및 추론에 필수적인 GPU 수요가 크게 늘자 상황이 달라졌다.


엔비디아 주가가 지난해부터 지금까지 약 9배 폭등한 주요 이유다. AMD, 인텔과 빅테크들이 AI 칩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고 있지만, 여전히 엔비디아가 이 시장의 80% 이상을 독차지하고 있다. 엔비디아 지난 1분기(회계연도 2~4월) 매출은 260억4000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62% 늘었고 AI 칩을 포함하는 데이터센터 부문 매출은 427% 폭등한 점이 이를 방증하고 있다.


올 초부터 미 경제 매체들은 AI 버블 가능성 등을 이유로 엔비디아 조정론을 시사했지만, 주가는 고공행진 중이다. 무엇보다 AI가 정교해지고 있다는 점에서 첨단 GPU 수요는 견고할 것이라는 전망에서다. AI는 텍스트 영역에서 이미지, 음성, 영상 등 멀티모달로서 강조되고 있고, 인간 수준을 뛰어넘는 AGI(범용인공지능) 개발 움직임도 가시화되고 있다.


가장 최근에는 세계 각국 정부에 의한 AI 칩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는 평가다. 안보 차원에서 정보·기술 주권 확보가 중요해지면서 선제적인 AI 데이터센터 구축 필요성이 커져서다. 데이터센터란 AI 가속기(GPU+HBM·고대역폭메모리)에 중앙처리장치(CPU) 등을 조립해 만든 AI 컴퓨터의 집합체로 AI 서비스를 확장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으로 주목받는다.


AI 물결은 이제 시작이고, 이에 따라 AI 칩 수요는 계속해서 확장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월가는 제약·조선·자동차 등 산업 부문에서도 앞으로 AI 칩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월가는 엔비디아 주가를 계속해서 상향 조정하는 모습이다. 로젠블라트 증권의 한스 모세만 애널리스트는 엔비디아 목표 주가를 종전 140달러에서 200달러로 올렸다. 이는 종가보다 47% 높은 수준으로 월가에서 지금까지 나온 최고치다. 시가총액이 5조달러에 가까워질 수 있다는 얘기다. 투자회사 서스케한나의 크리스 롤랜드 애널리스트도 엔비디아 목표 주가를 종전 145달러에서 160달러로 상향했다.



또 세계 최대 기술주 투자 상장지수펀드(ETF)인 ‘테크놀로지 셀렉트 섹터 SPDR 펀드(티커명 XLK)’가 조만간 리밸런싱을 통해 엔비디아 비중을 대폭 늘린다는 소식도 호재로 다가오고 있다. XLK는 포트폴리오에서 애플과 MS에 각각 20% 넘게 비중을 두고 있는 ETF로 엔비디아 보유 비중은 약 6%에 불과해 그간 AI 상승 랠리만큼 상승률이 따라오지 못한다는 지적이 있었다. XLK는 애플 비중을 20%까지 낮추는 대신 엔비디아 비중을 21%까지 늘려 엔비디아를 두 번째로 많이 투자하는 ETF로 거듭난다는 목표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