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보란듯 美 동맹국 손잡은 中…"다른 국가들 경각심 가져야"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중국이 호주와 뉴질랜드를 중국 무비자 입국 허용국에 포함하며 손을 내미는 모양새다. 미국 주도의 대중 압박 진영에 서 있던 이들 국가에 유화와 협력의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풀이된다.


17일 중국중앙TV(CCTV)에 따르면 중국 정부는 이날 리창 국무원 총리가 앤서니 앨버지니 호주 총리를 만난 직후 호주를 '일방적 비자 면제' 국가 범위에 포함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호주는 중국인들의 입국 시 비자를 요구하지만, 중국은 호주인들의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다는 의미다. 앞선 13일에는 뉴질랜드를 일방적 비자 면제 조치 대상에 포함한 바 있다.


보란듯 美 동맹국 손잡은 中…"다른 국가들 경각심 가져야" [이미지출처=AFP연합뉴스]
AD

통상 상호주의에 따라 상대국과의 비자 정책을 조율해오던 중국은 지난해 12월부터 일방적 비자 면제 조치를 늘려오고 있다. 지난해 12월부터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말레이시아 6개국에 대한 일방적 비자 면제 조치를 시행해오고 있다. 이들 국가의 일반 여권 소지자는 사업이나 관광, 친지 방문 등의 목적으로 중국에 무비자로 최장 15일 체류할 수 있다. 당시 중국 측은 관련 조치의 배경으로 "대외 개방 확대 조치의 일환"이라고 설명했다.


호주와 뉴질랜드는 미국 주도의 정보 동맹 '파이브 아이즈'(Five Eyes·미국·영국·캐나다·호주·뉴질랜드)에 참여 중이고, 호주의 경우 중국 견제를 위한 안보 동맹 '오커스'(AUKUS·미국·영국·호주)의 일원이기도 하다.


중국 관영 언론인 글로벌타임스(GT)는 호주와의 협력 강화 의지를 내비치며, 이를 통해 양국 국민이 실질적 이익을 불러올 수 있다고 강조했다. GT는 "지난 2년 중국과 호주의 관계는 순탄하지 못했지만, 대화를 통해 이견을 관리할 기회를 가져왔다"면서 "세계에는 호주와 마찬가지로 중국과의 역사적 원한도, 실질적인 지정학적 이해충돌도 없는 국가들이 있으며, 이들의 경제구조는 중국의 경제구조와 매우 상호보완적이어서 국제무역 측면에서도 중국과 상호의존적 관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호주는 지정학적 불안과 자국 개발 이익을 저울질해 비교적 올바른 길로 되돌아가고 있다"면서 "다른 국가들도 경각심을 가져야 한다"고 역설했다.



호주 정부 통계에 따르면 중국은 호주의 2022∼2023년 상품과 서비스 무역의 26%를 차지하는 최대 교역국이다. 중국 해관총서는 지난해 양국 무역이 전년 대비 4.1% 증가한 2292억달러(약 313조원)라고 집계했다.




베이징=김현정 특파원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