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 "푸틴 방북, 한반도 안보에 영향 줄 조치 우려"

시계아이콘읽는 시간3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미국 정부는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18~19일 북한 방문에 대해 한반도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북·러관계 밀착을 우려한다고 밝혔다.


美 "푸틴 방북, 한반도 안보에 영향 줄 조치 우려"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소통보좌관 17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우리는 그 방문(자체)에 대해 우려하지 않는다"며 "우리가 우려하는 것은 두 나라의 관계 심화"라고 말했다.


그는 우려의 이유에 대해 북한이 러시아에 공급한 탄도미사일이 아직도 우크라이나의 목표물을 타격하는 데 사용되고 있을 뿐 아니라 한반도의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몇몇 상호주의적 조처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러시아에 무기를 제공한 북한이 푸틴 방북 계기로 러시아로부터 받을 유·무형의 대가를 우려 속에 주목하고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러 타스 통신 등에 따르면 푸틴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해 포괄적 전략 동반자 협정에 서명할 수 있다고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보좌관이 밝혔다.


커비 조정관은 "우리는 현재로선 그 모든 것(북·러 협력)의 범주와 결실을 목도한 것은 아니다"면서도 "우리는 분명 긴밀히 그것을 주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크렘린궁은 푸틴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초청으로 18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북한을 국빈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푸틴 대통령의 방북은 2000년 7월 19~20일 이후 24년 만이다. 북·러 정상의 회동은 지난해 9월 김 위원장의 방러 이후 9개월 만에 이뤄진다. 지난해 북·러 정상회담을 전후한 시점부터 북한이 러시아에 탄약 및 탄도미사일 대량 제공하며 우크라이나 전쟁의 전황에 영향을 준 바 있다. 이에 따라 러시아는 북한에 첨단 군사기술 등을 제공할 가능성을 국제사회는 우려하고 있다.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