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루닛, '세계 최대 암학회' ASCO에서 연구성과 7건 발표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1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루닛은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4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2024 미국임상종양학회(ASCO)에서 AI 바이오마커 플랫폼 '루닛 스코프'를 활용한 연구 성과 7편을 발표한다고 27일 밝혔다. ASCO는 미국암학회(AACR), 유럽종양학회(ESMO)와 더불어 세계 3대 암학회로 꼽힌다.


루닛, '세계 최대 암학회' ASCO에서 연구성과 7건 발표
AD

루닛은 2019년부터 매년 ASCO에 참가해 암 치료 분야의 최신 연구 결과를 공유해오고 있다. 이번 ASCO에서 발표하는 주요 연구는 항암치료 표적 중 가장 잘 알려진 인간표피성장인자수용체(HER)2가 초저발현된 유방암 환자군 분류에 대한 연구 결과다. 최근 HER2 표적 항체·약물접합체(ADC)가 HER2 저발현 유방암에서도 치료 효과를 보인다는 것이 밝혀지며 종래에는 HER2 음성으로 분류되던 유방암 환자 중 HER2 초저발현군을 찾는 것이 중요해진 상황이다. HER2 발현 정도는 0~+3까지 총 4단계로 나뉘는데 0이나 +1까지는 음성, +3은 양성으로 분류된다.


루닛은 루닛 스코프를 활용해 HER2 음성으로 분류된 유방암 환자 401명의 조직 슬라이드를 분석한 결과 기존 방법에서 HER2 점수가 0으로 나온 환자 중 23.6%는 HER2 초저발현군으로 볼 수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1+ 발현으로 판독된 환자에게서도 HER2 발현 정도를 더 세밀히 구분할 수 있었고 이 중 51.9%의 환자에게서는 더 높은 HER2 발현 양상을 보였다. 특히 이 같은 비율은 ADC 항암제인 엔허투의 HER2 저발현 유방암 환자 대상 임상에서 확인된 객관적 반응률(ORR) 52.3%와 유사한 수준이라는 설명이다. 루닛은 이를 통해 종래에 HER2 음성으로 분류돼 표적 치료를 받지 못했던 유방암 환자를 AI를 통해 초저발현으로 세분화함으로써 치료 대상을 확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 연구 결과라는 설명이다.


루닛은 딥러닝 기반 흉부 컴퓨터 단층 촬영(CT) 영상 분석을 통한 비소세포폐암 환자의 면역항암제 반응 예측 결과도 선보인다. 환자 약 2000명을 대상으로 학습한 AI 모델이 치료 반응군으로 예측한 환자의 치료 실패 후 다른 치료로 전환될 위험성과 사망 위험도가 모두 42%씩 감소했고 전체 생존기간 중앙값(mOS)도 16.5개월로 비반응군의 7.6개월에 비해 2배 이상 길었다. 전체 생존기간(OS)은 치료를 받은 환자가 최종 사망에 이른 기간을 뜻한다.


특히 이번에 새로 개발한 CT AI 모델과 기존의 루닛 스코프 IO 모델, 그리고 기존의 알려진 프로그램화한 세포 사멸 단백질(PD)-(L)1 바이오마커를 모두 활용할 경우 치료 반응 예측의 정확도가 더욱 향상돼 세 모델이 모두 치료반응군으로 예측한 환자군의 경우 면역항암제 치료 후 mOS가 32개월까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루닛은 이외에도 ▲AI를 활용한 호르몬 수용체 양성 조기 유방암 환자의 예후 예측 연구 결과 국내 면역항암제 개발사와 협업한 항 CD47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1a상 임상 결과 루닛 스코프IO로 악성 흑색종 환자 대상 면역항암제 반응성을 예측하는 연구 결과 비소세포폐암 3차 림프구조(TLS)를 AI로 예측하는 연구 결과도 발표할 예정이다.



서범석 루닛 대표는 "세계 최고 권위의 암학회인 ASCO에서 AI 기술을 활용한 암 진단 및 치료 연구 성과를 꾸준히 발표하는 것은 루닛이 글로벌 의료AI 시장을 선도하고 있음을 방증한다"며 "앞으로도 의료 현장과 긴밀히 소통하며 임상적 니즈를 반영한 AI 기술 고도화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