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은 "고물가가 민간소비 크게 둔화시켜"

시계아이콘00분 59초 소요
숏뉴스
숏 뉴스 AI 요약 기술은 핵심만 전달합니다. 전체 내용의 이해를 위해 기사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불러오는 중...

닫기
뉴스듣기 글자크기

한은 고물가와 소비 관련 경제전망보고서 발표
2021~2022년 고물가로 소비증가율 4%포인트 낮춰

한은 "고물가가 민간소비 크게 둔화시켜" 서울 서초구 농협하나로클럽양재점.(자료사진) /강진형 기자aymsdream@
AD

2021년부터 급격히 상승한 국내 물가가 민간소비를 상당폭 둔화시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7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고물가와 소비 관련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이후 최근까지의 누적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총 12.8%(연율 3.8%)로 2010년대 평균(연율 1.4%)보다 두 배 이상 높았다.


물가상승은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축소시키는 경로와 자산과 부채의 실질가치를 하락시키는 경로를 통해 민간소비에 영향을 준다. 영향의 정도는 가계의 소비품목 구성(소비바스켓)과 재무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가계의 소비지출 품목은 연령과 소득수준 등에 따라 상이했다. 물가상승률이 높은 품목을 많이 소비하는 가계일수록 실제 체감하는 실효 물가상승률이 더욱 높아 물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이에 따라 식료품 등 필수재 비중이 큰 고령층과 저소득층에서 실효 물가상승률이 청장년층이나 고소득층 같은 여타 가계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가계가 금융자산과 부채를 각각 얼마나 보유하고 있는지에 따라서도 물가상승에 따른 영향이 달라졌다. 물가가 상승하면 가계 금융자산과 부채의 실질가치가 하락하기 때문이다.


금융자산을 부채에 비해 많이 보유하고 있는 고령층에서 물가상승의 부정적 영향이 컸다. 반면 청년층은 생애주기상 부채를 많이 보유하는 연령층임에도 불구하고, 전세거주자의 전세보증금 실질가치가 하락한 데 따른 영향으로 물가상승의 부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영향을 감안할 때 물가상승은 2021년과 2022년 사이에 실질구매력 축소 등을 통해 소비 증가율을 약 4%포인트 내외로 낮춘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는 2023년 이후 크기가 줄어들고는 있지만 여전히 소비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더해 가계별 금융자산, 부채의 실질가치 변동에 따른 효과도 2021~2022년 중 소비를 1%포인트가량 추가로 위축시켰다. 물가상승으로 부채부담이 줄어든 가계의 소비개선보다 자산가치가 훼손된 가계의 소비위축이 더욱 컸던 것으로 조사됐다.



정동재 한은 조사국 거시분석팀 과장은 "2021년 이후 빠르게 상승한 물가는 민간소비를 상당폭 둔화시킨 것으로 판단된다"며 "고물가는 가계의 실질구매력을 전반적으로 약화시킬 뿐 아니라 취약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부정적인 재분배 효과도 있는 만큼 물가안정 기조를 유지해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