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해상교통 관제구역 10년 새 84% 확대…"선박안전·인명구조 역할 톡톡"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1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2014년 해상교통관제 업무가 해양수산부에서 해양경찰청으로 이관된 후 10년간 관제 범위가 84%가량 확대되고 관제구역 내 사고도 더이상 늘어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해양경찰청에 따르면 선박 안전과 해양시설 보호를 위해 도입된 해상교통관제센터(VTS)의 관제 면적은 2014년 1만9366㎢에서 올해 기준 3만5649㎢로 늘었다. 이는 우리 영해 면적(8만6000㎢)의 41.5%에 달한다.


같은 기간 인력과 장비도 확충돼 현재 전국의 VTS 19곳에서 관제사 603명이 레이더 등 장비 1786대를 활용해 24시간 근무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또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한 관제 지원기술과 함께 VTS 데이터를 공유하는 통합연계망 기술도 개발해 연내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다.


해상교통 관제구역 10년 새  84% 확대…"선박안전·인명구조 역할 톡톡" 23일 김종욱 해양경찰청장이 해상교통관제 업무 이관 10주년을 맞아 인천항 VTS를 방문해 업무 현황을 확인하고 있다. [사진 제공=해양경찰청]
AD

해경청은 해상 관제부터 재난 대응까지 도맡아 총체적인 해양 재난관리체계를 마련했으며, VTS 통합 운영으로 정책 효율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현장에서는 VTS와 경비함정이 연계해 지난 10년간 음주 운항 54건을 단속해 해양사고를 미연에 방지했다. 또 지난 2월에는 신안 해역에서 선박이 전복되는 사고가 발생, 인근 함정과 화물선에 협조 요청해 선원을 구조하는 등 선박 안전과 인명구조까지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해경청은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관제사 양성과 역량 강화를 위해 선박관제시뮬레이터와 첨단시설을 갖춘 VTS교육훈련센터를 해양경찰교육원(전남 여수)에 구축했으며, 수협 직원 등 민간 대상 교육도 하고 있다.



김종욱 해양경찰청장은 "선박교통관제법 제정과 관제구역 확대, 시스템 고도화 등을 통해 선박 교통안전 확보에 꾸준히 힘쓰고 있다"며 "앞으로도 국민이 바다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해상교통 관제구역 10년 새  84% 확대…"선박안전·인명구조 역할 톡톡" 해상관제구역 [해양경찰청 제공]



박혜숙 기자 hsp0664@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