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세계 최대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본격 가동…연 3만t 생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연간 5000대의 수소버스 충전할 수 있는 규모

연 3만t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수 있는 세계 최대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가 본격 가동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안덕근 장관이 8일 인천시 서구에서 개최된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준공식에 참석했다고 밝혔다.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는 SK E&S가 총 7000억원을 투자해 구축한 것으로, 최대 연 3만t의 액화수소를 생산할 계획이다. 연간 약 5000대의 수소버스가 충전할 수 있는 규모로, SK E&S는 인천 플랜트와 연계해 올해 중 약 20개소를 시작으로 2026년까지 총 40개소의 액화충전소를 전국에 구축해 액화수소 유통망을 조성해 나갈 계획이다.


세계 최대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본격 가동…연 3만t 생산 인천 액화수소 플랜트 전경.
AD

액화수소는 기체수소를 ?253℃의 극저온상태로 냉각한 것으로 전 세계에서 미국과 프랑스, 독일, 일본 등 9개국만 생산하고 있는 고난도 기술이다. 기체수소 대비 부피를 800분의 1로 줄일 수 있어 운송효율이 10배 이상 높다. 수소차와 수소버스 등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확산에 기여할 것으로 산업부는 기대하고 있다. 또 초고순도(99.9999%)의 특성을 가져 반도체, 방산 등 초고순도 수소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첨단산업 업계에서도 활용이 전망된다.


정부는 해당 플랜트의 차질 없는 구축을 위해 산업융합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를 통한 관련 인허가를 지원했다. 더불어 액화수소 전주기 안전기준 개발과 액화수소 핵심기술 및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R&D) 지원 등 액화수소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지속 노력할 계획이다.


안덕근 장관은 축사를 통해 "수소는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무탄소 전원으로, 정부는 민간과 함께 청정수소로의 전환, 수소상용차 보급 확대 등 수소경제 실현을 앞당기기 위해 부지런히 달려 나가고 있다"며 "이번 액화수소 플랜트는 한국 수소경제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 게임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날 행사에서 액화수소 생산기업인 IGE와 효성하이드로젠, 하이창원 등은 수소유통전담기관인 한국석유관리원과 안정적인 액화수소 유통 생태계 조성을 위한 '액화수소 수급 협력 체계 구축협약'을 체결했다.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