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日혼다, 무인택시 운행 목표...시스템 지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3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일본 완성차업체 혼다가 2026년 자율주행 무인 택시 운영을 목표로 택시회사와 손잡았다. 혼다가 차량, 배차 애플리케이션 등 운영시스템과 원격감시 안전 확보책을 지원하고 기존 택시회사가 운행 주체가 되는 분업형 모델이다.

日혼다, 무인택시 운행 목표...시스템 지원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AD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8일 혼다가 2026년 도쿄에서 무인 택시 운행을 개시하는 것을 목표로 택시업체 데이토자동차교통 및 고쿠사이자동차와 협력에 나선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혼다는 차량, 배차 앱 등 운영 시스템을 택시 회사에 지원하고, 자율주행 안전 확보에 필수적인 원격 감시업무도 일괄 수탁한다.


혼다는 미국 제너럴모터스(GM)의 자율주행 자회사인 크루즈와 함께 공동 개발한 자율주행 전용 차량 '크루즈 오리진'을 이 사업에 투입한다. 우선 500대 규모로 시작해 사업성을 검증할 방침이다. 택시회사들은 차량 점검 및 정비, 영업소 관리 등을 담당하게 된다.


닛케이는 "사업화에 앞선 미국, 중국은 차량 시스템을 개발하는 기업이 운행까지 하는 자사 완결형이 많다"면서 "혼다는 시스템, 안전 확보책 등을 포함한 패키지를 제공하고 기존 택시회사가 운행 주체가 되는 분업형을 통한 무인 택시 보급을 목표로 한다"고 전했다.


원격 감시의 경우 복잡한 판단, 높은 안정성 요구 등으로 택시회사 단독으로 담당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이에 혼다가 이러한 운행 지원을 일괄 수탁함으로써 무인 택시 운영을 위한 부담과 비용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이를 위해선 도로운송법 등 제도상 과제도 해소할 필요가 있다. 현행법상 원격 감시 등은 '특정 자동운행보안원'이 담당하며 관련 판단 등을 수반하는 업무 위탁은 인정하지 않고 있다. 더욱이 사고가 발생할 경우 책임 소재도 문제다. 이와 관련해 혼다는 현재 택시 사업 허가를 받는 방안, 관련 법과 규칙을 개정하는 방안 등을 검토 중이며 정부에 규제 완화를 촉구할 예정이다.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