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기자수첩]'IPO 단타' 일삼는 기관, 피해는 고스란히 개미 몫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06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기자수첩]'IPO 단타' 일삼는 기관, 피해는 고스란히 개미 몫
AD

기자가 취재하기 위해 만난 개인투자자들의 공모주 투자 실패담은 대체로 이런 흐름이다. 공모주 투자를 위해 A기업의 기업공개(IPO)에 관심을 갖는다. 하지만 확신이 없어 투자를 망설이다 A기업이 기관투자가들의 수요예측에서 좋은 평가를 받으면 청약에 참여한다. 수요예측이 흥행했다는 것은 기관들이 A기업의 중장기 성장성을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공모주 상장 후 계좌를 들여다보면 주가는 곤두박질쳐 있다. A기업을 낙관적으로 평가했던 기관들이 상장 첫날 비싼 가격에 주식을 매도해서다.


최근 1년간 IPO를 진행했던 기업의 공모가 85%가 희망가격 범위의 최상단으로 결정됐다. 기관들이 서로 주식을 사기 위해 경쟁적으로 호가를 높여서다. 그런데 주식을 팔지 않고 일정 기간 보유하기로 약속하는 의무보유확약을 체결한 기관의 비율은 13%에 불과했다. 나머지 87%는 미확약이다. 수요예측 때 기업가치를 높게 평가했음에도 최소 15일도 주식을 보유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의무보유확약은 최소 15일부터 최대 6개월까지 다양하다. 실제 기관은 올해 신규 상장한 15개 종목 모두 상장 첫날에 순매도했다. 기관이 IPO 시장의 '단타 세력'이라는 표현이 나오는 이유다. 기관이 단타를 일삼으면 주가 변동성이 커질 수밖에 없고 피해는 고스란히 개인투자자들에게 돌아간다.


기관들이 최대한 많은 물량을 받기 위해 수요예측에서 높은 가격을 써내면 기업가치보다 공모가가 비싸게 책정돼 거품 논란이 생긴다. 그리고 상장 시 바로 매도할 수 있도록 의무보유확약 자체를 안했다면 공모가 거품 논란은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지난해부터 공모주 상장 후 주가 변동성 확대를 막기 위해 의무보유확약 기간별로 물량 차등 배정이 이뤄지고 있다. 그러나 기관들은 의무보유확약을 걸어서 물량을 더 받는 것보다 적은 물량이라도 챙겨 상장 당일 주가가 올랐을 때 비싼 값에 매도하는 단타를 일삼고 있다. 공모주 상장 후 주가 변동성 확대를 막기 위해 기관의 의무보유확약 비율의 추가 손질이 필요한 이유다.



"투자는 단기적 가격 급등락보다 본질적인 기업 가치에 집중해야 한다"는 말은 증권가의 흔하지만, 핵심을 전하는 격언이다. 기관의 투기로 인해 IPO가 주식을 비싼 가격으로 개인투자자에게 넘기는 수단이 된다면 "투자는 본질적인 기업 가치보다는 단기적 가격 급등락에 집중해야 한다"는 말이 오히려 합리적인 조언이 되는 우스운 상황이 벌어질 것이다.




이승형 기자 trust@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