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KDI “엄마 되면 경력단절 확률 2.6배”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2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KDI “엄마 되면 경력단절 확률 2.6배”
AD

출산한 여성의 경력단절 확률이 아이가 없는 여성들보다 2배 넘게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합계출산율 하락의 40%는 출산에 따른 여성의 고용상 불이익이 원인으로 조사됐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16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KDI 포커스 ‘여성의 경력단절 우려와 출산율 감소’ 보고서를 공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자녀를 가진 여성의 경력단절 확률은 2014년 28%에서 지난해 24%로 4%포인트 줄어드는 데 그쳤다. 같은 기간 여성 평균 경력단절 확률이 29%에서 17%로 줄어든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자녀가 없는 여성의 경우 지난해 경력단절 확률이 33%에서 9%로 대폭 낮아졌다. 지난해 기준으로 출산을 한 여성의 경력단절 확률이 2.6배가량 높다는 의미다.


여성이 출산을 포기하면 경제적 이득도 커지는 것으로 분석됐다. 무자녀 30대 여성이 아이를 낳지 않았을 때 경력단절 확률은 최소 14%포인트 줄어든다. 여기에 경력단절에 따른 인적자본 훼손, 커리어를 이어갔을 때의 임금상승, 출산 이후 양육비 등까지 고려하면 실제로 얻는 경제적 이익은 더 많다는 게 KDI의 설명이다.


출산에 따른 여성의 고용상 불이익은 합계출산율을 크게 떨어뜨렸다. 2013년부터 2019년까지 25~34세 여성의 합계출산율이 떨어진 이유 중 39.6%가 출산 여성의 고용상 불이익 때문이었다. 아이를 낳으면 ‘경단녀’가 될 확률이 높아지다 보니 여성 청년들이 출산을 미루거나 포기하게 됐다는 해석이다.


원인으로는 일·가정 양립의 부재가 거론됐다. 일·가정 양립을 고려하지 않았던 과거 노동시장 환경을 바꾸지 않은 채 여성의 경제활동참가만 늘어나며 발생한 일이라는 뜻이다.


보고서는 자녀를 둔 여성의 경력단절 확률을 낮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육아기 부모의 시간 제약을 완화할 수 있도록 재택·단축 근무제도와 이를 위한 보조금 정책 확대, 남성 영유아 교육 비중 확대 등이 대안으로 제시됐다. 특히 부모가 일과 육아를 병행하는 동안의 시간 부담을 덜 수 있도록 재택·단축근무 제도지원을 10년 이상 장기간 제공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조덕상 KDI 연구위원은 “단기적인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제도만으로는 여성들의 경력 단절을 감소시키는 데 한계가 온 것 같다”면서 “장기적인 시각으로 유자녀 여성의 고용률 격차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세종=송승섭 기자 tmdtjq8506@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