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IEA "친환경 전환 때문에…내년 원자력 발전량 사상 최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4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연평균 2.6% 증가 전망
수요도 늘지만 발전량 증가분으로 감당
2026년엔 화석연료 비중 첫 60% 아래로

세계 각국이 저탄소 에너지원 전환에 속도를 내면서 내년 원자력 발전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4일(현지시간)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연례 전력시장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전망했다.


IEA에 따르면 지난해 원자력 발전량 2741TWh(테라와트시)였다. 내년에는 2900TWh 정도로 늘어날 것으로 추산했다. 2026년에는 2959TWh로 증가, 연평균 2.6%씩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IEA는 원자력 발전량 증가 요인으로 프랑스의 원자력 발전량 증가, 일본의 일부 원전 재가동, 중국·인도·한국 및 유럽 등의 신규 원자로 가동 등을 꼽았다.


아울러 내년 초에는 태양열이나 풍력, 수력 등 재생에너지가 전체 발전량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며 석탄 발전량을 추월할 것으로 분석했다. 태양열 패널의 가격이 떨어지면서 재생에너지가 늘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따라 전 세계 발전량에서 화석연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61%에서 2026년 54%로 감소할 것으로 추정했다. 통계 산출 이래 처음으로 화석연료 비중이 60% 미만으로 떨어진다고 본 것이다.


전력 부문의 탄소 배출량도 꾸준히 감소할 것으로 판단했다. 지난해 전력 생산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량이 전년 대비 1% 증가 1만3575Mt(메가톤)이었으나 올해부터 감소세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했다. 2026년엔 1만3111Mt으로 떨어진다고 봤다.


한편 전 세계 전력 수요량은 늘었다. 지난해에는 2만7682TWh로 전년 대비 2.2% 증가했다. 2026년 3만601TWh로 연평균 3.4%씩 불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선진국과 중국 등에서 전기 냉난방이나 전기차 이용이 확대되면서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봤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전력 부문이 현재 세계 경제에서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다"며 "재생에너지 사용이 빠르게 늘고 원자력이 꾸준히 확대돼 향후 3년간 세계 전력 수요 증가를 감당할 수 있다는 건 고무적"이라고 설명했다.

IEA "친환경 전환 때문에…내년 원자력 발전량 사상 최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AD



이민우 기자 letzwi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