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70대 어르신 집에 쌓인 13t 쓰레기…20명이 달려들어 이틀만에 정리

시계아이콘읽는 시간01분 44초
언론사 홈 구독 뉴스듣기 글자크기

부산 동구 '저장강박 의심' 70대 집 청소
이틀간 자원봉사자 20여명 동참해 정리

70대 어르신 집에 쌓인 13t 쓰레기…20명이 달려들어 이틀만에 정리 A씨 집 안에서 나온 폐기물은 1t급 트럭 10대 분량으로 모두 13t에 달한다. [사진제공=부산 동구청]
AD

저장강박증으로 의심되는 70대의 집에 13t 분량으로 쌓인 물건이 지방자치단체의 1년 가까운 설득으로 정리됐다. 물건은 현관을 대부분 막아 출입이 어려울 정도로 쌓였다.


19일 부산 동구에 따르면, 동구노인복지관은 A씨를 올해 초부터 주시하고 자택을 방문했다. 관내 2층짜리 단독주택인 A씨의 자택 내부는 폐기물로 가득했다. 가구와 가전제품부터 비닐봉지까지 여러 물품이 A씨의 집 내부에 쌓였다.

70대 어르신 집에 쌓인 13t 쓰레기…20명이 달려들어 이틀만에 정리 저장강박증으로 의심되는 70대의 집에 13t 분량으로 쌓인 물건이 지방자치단체의 1년 가까운 설득으로 정리됐다. 물건은 현관을 대부분 막아 출입이 어려울 정도로 쌓였다. [사진제공=부산 동구청]

동구 관계자는 "계단에 걸린 줄을 잡아야 2층으로 간신히 올라갈 수 있을 만큼 물건이 쌓여 있었다"고 설명했다.


처음에 동구 직원들은 A씨에게 쓰레기봉투를 제공해 본인이 치울 수 있도록 독려했다. 쓰레기가 때에 맞춰 집 밖에 버려져 있는지 확인하고 설득하는 과정을 반복했다.


그러나 A씨는 "스스로 치우겠다"고 답할 뿐 실행하지 않았다. 그러다 지난여름 집에서 악취가 진동하자 구 직원들과 A씨가 날짜를 지정해 '물건을 치우겠다'며, 만약 치우지 않으면 A씨가 구청에 협조하겠다는 각서를 쓰기도 했다.


결국 특정일이 지난 후에도 쓰레기는 처리되지 않았고, 이에 동구청은 정리를 위해 직접 나섰다. 처음 마주한 어마어마한 폐기물은 치우기도 쉽지 않았다.

무엇보다 A씨의 경우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니어서 청소와 쓰레기 배출을 위한 별도 예산이 필요한 데다가 쓰레기양이 워낙 많아 여러 명의 자원봉사자가 필요했다.


동구 관계자는 "자원봉사자 20여명을 모집한 끝에 지난달 이틀에 걸쳐 청소했다"며 "비용은 구청이 일부 지원하고, A씨와 가족 등이 부담하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A씨 집 안에서 나온 폐기물은 1t급 트럭 10대 분량으로 모두 13t에 달한다.


동구 관계자는 "가정불화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겹치면서 저장강박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며 "1년 가까이 설득한 끝에 A씨의 집 안을 청소한 것처럼 앞으로도 저장강박 의심 가구를 파악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저장강박증', 노인층이 젊은 층보다 3배 많아
70대 어르신 집에 쌓인 13t 쓰레기…20명이 달려들어 이틀만에 정리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쌓아두는 '저장 강박'은 당장 쓸모가 없는 물건임에도 나중에 필요할까 걱정이 되거나 불안해하는 것을 뜻한다. [사진제공=부산 동구]

물건을 버리지 못하고 쌓아두는 '저장 강박'은 당장 쓸모가 없는 물건임에도 나중에 필요할까 걱정이 되거나 불안해하는 것을 뜻한다.


이런 걱정이 심해지면 어떤 물건도 버리지 못하고 모으는 '저장강박증'으로 악화한다. 저장강박증은 강박장애의 일종으로, 저장 강박장애·저장강박증후군 등으로도 불린다. 사용 여부와 상관없이 일단 물건을 모으며, 모으지 못하면 불안하고 불쾌한 감정을 느낀다. 심한 경우 물건을 버리려 할 때 폭력성을 드러내기도 한다. 노인층이 젊은 층보다 3배가량 많다.


저장강박증은 전두엽이 의사결정 능력, 행동에 대한 계획 등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 때 발생한다. 물건의 필요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다 보니 버리지 못하고 저장해 두는 것이다.


뇌 기능이 원활하지 않아 물건을 분류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우유부단하거나 회피, 대인관계 문제, 산만함 등과 같은 성향을 동반하기도 한다. 보통 11~15세에 처음 의심 증상이 나타난다. 오래된 신문·잡지·옷 등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는 식이다. 이후 만성적으로 발전하기 쉽다.


저장강박증은 점점 증상이 심해지므로, 적절한 시기에 적극적으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증상이 악화하면 집안이 쓰레기로 가득 찰 때까지 물건을 버리지 않고 쌓아둘 수 있다. 이로 인해 호흡기 감염, 피부질환 등과 같은 문제를 겪을 위험도 있다.


저장강박증 환자는 집안에서 심한 악취가 나고 일상생활이 불가능할 정도로 위생 상태가 좋지 않아도 자신의 증상을 병으로 여기지 않는다. 무엇보다 저장강박증은 병의 경계가 모호해 환자가 증상을 인지하지 못하고 치료받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치료받아도 다른 강박장애에 비해 치료가 어려운 편이다.



이에 미국정신의학회는 저장강박증을 치료가 필요한 정신질환으로 분류하고 미국 전체 인구의 2~5%를 저장강박증 환자로 판단한다. 반면, 국내에서는 아직 제대로 된 통계나 조사가 없어 일부 지자체에서 도움을 주고 싶어도 현실적으로 도움을 주지 못하는 일이 발생한다.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