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셀트리온, 다중항체 신약 개발 추진…싸이런 테라퓨틱스와 맞손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T-세포 연결항체 플랫폼 기반 다중항체 개발 계약
계약규모 1조1580억원
공동연구 결과 따라 라이선스인 옵션 행사 가능
해당 다중항체에 독점권 행사도

셀트리온은 항체 발굴 및 개발 전문 업체 싸이런 테라퓨틱스(이하 싸이런)와 이중항체 및 삼중항체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양사는 이번 계약을 통해 연구·개발(R&D) 역량을 발휘, 다중항체 기반의 항암신약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 다중항체 신약 개발 추진…싸이런 테라퓨틱스와 맞손 인천 송도 셀트리온 2공장 전경./인천=김현민 기자 kimhyun81@
AD

이번 계약으로 셀트리온은 싸이런에 표적 항체 클론을 제공하고 싸이런이 자체 보유한 CD3 표적 T-세포 연결항체(TCE) 플랫폼을 활용해 다중항체 약물 개발 연구를 양사 공동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계약기간은 계약 체결일인 2023년 12월6일부터 3년이다.


TCE 다중항체는 T-세포를 통해 암세포를 공격해 항암 효과를 유도하는 치료제로, 최근 혈액암 분야에서 치료 효능이 입증되고 있어 전 세계적으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약 70조원에 이르는 전 세계 혈액암 치료제 시장 규모는 신규 모달리티 약물 진입으로 연평균 8% 이상 성장해 2028년에는 약 100조원까지 이를 전망이다.


양사는 의학적 미충족 수요와 높은 시장성을 고려해 혈액암뿐 아니라 고형암까지 타깃을 넓혀 다중항체 치료제를 공동 개발하고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을 높일 계획이다.


이후 공동 연구 결과에 따라 후속 개발을 진행한다. 계약 규모는 개별 프로그램당 개발 마일스톤 금액 최대 105억원과 상업화 이후 판매 마일스톤 금액 최대 3200억원 등 총 1조1580억원에 이른다. 연구 단계에서 발생하는 비용에 대해서는 양사가 절반씩 부담한다. 상호 라이선스인 옵션권 행사 조항에 의거해 공동 연구에서 발굴한 다중항체를 셀트리온이 사용할 경우 기술료를 싸이런에 지급하고 독점적 권리를 가지게 된다. 반대로 싸이런이 독점적으로 사용할 경우 셀트리온이 기술료를 지급받게 된다.


셀트리온은 이번 계약을 통해 미래 신규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고 항암 분야에서 경쟁력을 한층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항암제 자체 개발과 외부 제품의 라이선스인을 활용한 투트랙 전략으로 파이프라인을 빠르게 확보, 기존 항체치료제에 항암제 제품군을 더해 전체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셀트리온은 바이오시밀러를 넘어서 신약으로 도약하는 진정한 글로벌 빅 파마로 도약하기 위해 신약 후보 물질 발굴에 적극 나서고 있다"며 "자체 보유한 항체 개발 플랫폼 기술 및 의약품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유망 바이오테크와 협력해 신약 개발에 총력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셀트리온은 합병 이후 통합된 그룹의 자원을 신약 및 신규 모달리티 개발에 지속 투자할 계획이다. 셀트리온은 지난해 9월 미국 바이오테크와 사람 상피세포 증식인자 수용체(HER)2 양성 고형암 표적 이중항체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공동개발 계약을 체결하는 등 다중항체와 항체의약품 신약, 항체-약물접합체(ADC) 치료제, 항암바이러스 플랫폼 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외 다양한 기업들과 협업하고 있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