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프렌드쇼어링 할래" 유럽 기업 4배 증가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글로벌 지정학적 위기에
기업 42% "생산기지 우호국 이전"

미·중 갈등 등 글로벌 지정학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프렌드쇼어링(동맹국 공급망 연대)'을 가속화하겠다는 유럽 기업들이 크게 늘었다.


"프렌드쇼어링 할래" 유럽 기업 4배 증가
AD

유럽중앙은행(ECB)이 6일(현지시간) 유럽 내 글로벌 기업 65곳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향후 5년간 생산기지를 정치적으로 우호적인 국가로 이전하겠다고 응답한 기업은 전체의 42%로 나타났다. 지난 5년 동안 프렌드쇼어링을 추진했다고 답한 기업(11%)의 네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미·중 갈등과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전쟁 등으로 지정학적 위기와 외교적 분열이 심화되면서 글로벌 교역 시스템이 더욱 블록화되는 추세를 반영한 움직임으로 보인다.


유럽의 공급망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국가로는 응답자의 3분의 2 이상이 중국을 꼽았다. 미국, 대만, 인도, 튀르키예, 러시아도 공급망을 위협할 수 있다고 기업들은 응답했다.


공급망 재편의 기준이 기존의 비용 효율성 중심에서 최근 몇년간 리쇼어링(해외진출 자국 기업의 국내 복귀)과 프렌드쇼어링 기반으로 변화하면서 인플레이션 압력도 점차 커질 것으로 내다봤다. 전체 응답 기업의 60%는 지난 5년간 공급망 재편과 생산시설 이전으로 제품 가격이 상승했다고 답했다. 응답자의 45%는 향후 물가 상승 압력이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앞서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도 "글로벌 무역 시스템의 분열이 지난 2년 간 인플레이션 급등에 기여했다"고 밝힌 바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역시 올초 글로벌 공급망 분절로 세계 경제의 생산량이 2% 가량 감소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다만 유럽 기업들이 정치적으로 우호적인 국가들과 손잡고 기존 공급망을 재편하기까지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ECB는 "지정학적 위험은 생산시설을 EU 역내로 이전시키기로 결정한 주요 요인이지만, 수요와 비용은 생산기지를 EU 밖으로 이전하도로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유럽 무역 방식에 상당한 변화가 있다는 증거는 나타나지 않았다"며 "사업 모델과 공급망에 변화를 주기 위한 과제와 비용을 감안하면 이런 변화가 나타나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전망했다.



외신은 "지정학적 긴장으로 점점 더 많은 다국적 기업들이 정치적으로 더 가까운 국가로 생산기지를 이전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다"며 "이들 기업은 동시에 주요 원자재 조달을 중국에 의존하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