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HK이노엔 "케이캡, 공학한림원 생명과학 분야 우수기술 선정"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5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생명과학 분야 유일

HK이노엔은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한국공학한림원에서 발표한 올해 대한민국 산업을 이끈 '2023년도 산업기술성과' 생명과학 분야 우수 기술로 선정됐다고 7일 밝혔다.


HK이노엔 "케이캡, 공학한림원 생명과학 분야 우수기술 선정" HK이노엔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 전 제품. [사진제공=HK이노엔]
AD

한국공학한림원은 공학과 기술 발전을 추진하기 위해 설립된 학술 연구기관이다. 최신 기술과 산업 동향을 공유할 목적으로 2006년부터 매년 다양한 산업의 우수한 기술을 선정해 발표하고 있다. 올해는 ▲전기·전자 ▲에너지·소재 ▲모빌리티 ▲건설·환경 ▲생명과학 분야에서 총 14건이 우수 기술로 선정됐다.


케이캡은 생명과학 분야에서는 유일하게 우수 기술로 선정됐다. 케이캡은 기존 치료제로 주로 쓰이던 프로톤펌프 억제제(PPI)의 한계를 극복한 칼륨경쟁적 위산분비억제제(P-CAB) 계열 약물이다. 케이캡은 환자의 삶의 질을 개선함으로써 경제적·산업적 손실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국민 건강증진에 이바지한 점을 평가받아 우수 기술로 선정됐다.


케이캡은 ▲복용 30분 내 빠른 약효 발현 ▲우수한 약효 지속성 ▲식사시간 관계없이 복용 가능 ▲6개월 장기 복용 시에도 안전성 및 유효성 확인 등의 장점을 나타낸다. 2019년 출시된 이후 올해 9월까지 케이캡의 국내 누적 처방실적은 3503억원으로, 5년 연속 국내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 1위 자리를 지켰다.


글로벌 진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주요국인 미국과 중국에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한 데 이어 중남미 1, 2위 국가인 브라질, 멕시코에도 진출했다. 현재 해외 35개국에 진출했으며, 미국에서는 임상 3상을 진행 중이다.


케이캡은 임상 연구와 특허 등재, 제형·적응증 확대 전략을 펼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이거나 완료한 케이캡 임상 연구는 80여건, 국내 및 해외 유수 저널에 게재한 논문은 50여편이다. 특허는 전 세계에 약 450건을 등록했거나 출원 중이다.


적응증 연구도 활발히 진행해 국내 P-CAB 계열 제품 중 가장 많은 적응증을 보유하고 있다. 제형에서는 정제에 이어 구강붕해정(입에서 녹는 제형)을 개발해 복용 편의성을 높였고, 응급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주사제도 개발하고 있다.


곽달원 HK이노엔 대표는 "케이캡은 우수한 대한민국 신약 연구개발 기술 집약체로, 글로벌 블록버스터 신약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되는 제품"이라며 "차세대 P-CAB 계열을 이끄는 선두주자로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은 물론, 제형 및 용량 다양화 등을 통해 환자 삶의 질을 높이는 동시에 대한민국 신약 경쟁력을 더욱 키우는 데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2023년 산업기술성과 14선에는 ▲LG전자의 ‘4K 120Hz 무선 OLED TV’ ▲삼성전자의 ‘세계 최초 UFS4.0 고성능 모바일 스토리지 제품’ ▲LG화학의 ‘리튬이차전지의 안전성 강화를 위한 UV 가교 분리막 기술▲현대모비스의 ‘멀티 챔버 에어서스펜션 시스템’ ▲부강테크의 ‘국내 최초 에너지 절감형 하폐수처리 질소제거 기술’ 등이 선정됐다.




이명환 기자 lifehwan@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