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에쓰오일 3분기 영업이익 8589억원…전년比 67.9%↑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에쓰오일이 올해 3분기 매출 8조9996억원에 영업이익 8589억원을 거뒀다고 30일 밝혔다. 전년 동기보다 매출은 19.1% 감소했지만 영업이익은 67.9% 증가했다. 전 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5.1%, 영업이익은 2258.5%나 늘었다. 당기순이익은 5454억원으로 전년, 전 분기 대비 모두 흑자로 전환했다.


에쓰오일은 3분기 실적에 대해 "정유제품 수요 호조로 정제마진 강세와 유가 상승 영향으로 영업이익이 대폭 늘었다"고 설명했다.


사업부문별로 보면 정유부문은 매출 7조1987억원에 영업이익 6662억원을 기록했다. 아시아 정제마진이 급반등했다. 역내 생산 설비 가동 차질로 타이트한 공급 상황 속에서 여름철 드라이빙과 항공 여행 성수기 수요가 강세를 보인 영향이다. 두바이 원유가격은 OPEC+의 자발적 감산 기간 연장과 글로벌 원유 재고 감소로 상승했다.


석유화학부문은 매출 1조1248억원에 영업이익 454억원을 거뒀다. 주력 제품인 파라자일렌(PX)과 벤젠 시장이 휘발유 혼합 생산을 위한 원료 아로마틱 제품의 견조한 수요와 역내 신규 대형 다운스트림 설비 가동으로 신규 수요가 들어오면서 준수한 수준을 유지했다. 폴리프로필렌(PP)과 프로필렌옥사이드(PO) 시장은 역내 신규 설비 가동과 중국 제조업 경기 둔화로 다운스트림 수요 위축으로 약세를 보였다.


윤활 부문은 매출 6761억원, 영업이익 1472억원을 기록했다. 윤활기유 스프레드는 계절적 비수기로 수요 둔화와 주요 공급사들 정기보수 종료로 전 분기 대비 축소됐으나 과거 평년 수준은 상회했다.


에쓰오일 3분기 영업이익 8589억원…전년比 67.9%↑
AD

에쓰오일은 이동수요가 회복되면서 연중 지속된 정유 제품 수요 성장으로 글로벌 정유 제품재고가 역사적 범위 아래로 하락한 상태라고 밝혔다. 샤힌 프로젝트 자금조달과 관련해선 "시중 금리 대비 경쟁력 있는 저금리로 최대주주 대여금에 대한 주요 조건 협의와 은행차입 약정을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에쓰오일은 4분기 시장 전망에 대해 "아시아 정제마진은 낮은 글로벌 재고와 제한된 공급 증가 여건 속에서 동절기 수요 증가로 견조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어 "PX와 벤젠 시장은 휘발유 강세 시황의 계절적 완화로 아로마틱 제품 생산이 증가하면서 조정세가 예상되나 정기보수가 끝난 다운스트림 설비의 재가동으로 지지될 것"이라며 "PP와 PO시장은 중국 국경절 연휴 이후 소비 수요 개선과 업체 경제성을 고려한 설비가동률 조정으로 회복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윤활기유 스프레드도 정기보수와 수율 조정으로 타이트한 공급과 점진적인 수요 회복으로 소폭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