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美Fed, 예상대로 동결...연내 한번더 금리 인상 시사(상보)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9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동결하는 한편, 점도표 상 연내 한차례의 추가 인상이 가능함을 시사했다. 특히 내년과 내후년 말 금리 전망을 기존보다 끌어올리며 더 오랜 기간 더 높은 수준의 금리가 이어질 수 있음을 예고했다.

美Fed, 예상대로 동결...연내 한번더 금리 인상 시사(상보) [이미지출처=로이터연합뉴스]
AD

Fed는 20일(현지시간)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후 공개한 정책결정문을 통해 연방기금금리를 기존 5.25~5.5%로 동결한다고 발표했다.


FOMC는 "최근 지표는 경제활동이 견고한(solid) 속도로 확대되고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최근 몇 달간 일자리 증가는 둔화했으나 여전히 호조다.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상승 중"이라고 진단했다. 또한 "추가 정보와 통화정책의 영향을 계속 평가할 것"이라며 "인플레이션 목표 2%로 되돌리기 위해 적절한 추가적인 정책 강화 범위를 결정할 때 통화정책의 누적된 긴축, 통화정책이 경제활동과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시차, 경제 및 금융 상황을 고려할 것"이라고 확인했다.


이날 공개된 정책결정문은 큰 변화는 없었으나, 일부 단어가 미세하게 조정됐다. 경기 진단에서 '완만한(moderate)'이라는 표현을 '견고한(solid)'으로 수정하면서 미 경제가 예상보다 강한 수준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일자리 증가세와 관련해 'slowed'라는 표현을 담아 누적된 긴축이 노동시장에 여파를 주고 있음을 담았다. 시장에서 기대해온 긴축 마무리를 시사하는 내용 등은 포함되지 않았다. '적절한 추가적인 정책 강화(additional policy firming)' 문구도 유지됐다.


새롭게 공개한 점도표 상 올해 연말 금리 전망치(중앙값)도 5.6%로 그대로 유지됐다. 다만 2024년 금리 중앙값은 기존 4.6%에서 5.1%로, 2025년 말 금리 중앙값은 3.4%에서 3.9%로 상향됐다. 2026년 말 금리 중앙값은 2.9%를 나타냈다. 이는 내년에 두 차례의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임을 시사한다. 또한 Fed의 긴축 사이클이 끝나더라도 높은 수준의 금리가 장기간 이어질 것임을 보여준다. 올해 물가상승률은 3.3%,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1%로 예상됐다.


시장은 곧 이어질 제롬 파월 Fed 의장의 기자회견을 대기하고 있다. 파월 Fed 의장은 미 동부 시간으로 오후 2시30분부터 진행되는 기자회견에서 필요하다면 언제든 추가 인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힐 것으로 예상된다.



뉴욕증시는 혼조세를 보인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낙폭을 확대했고, S&P500지수는 마이너스로 전환했다. 약세를 보이던 달러화 지수는 반등해 105선을 나타내고 있다.




뉴욕=조슬기나 특파원 seul@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