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뇌에 칩 이식' 머스크 뉴럴링크, 임상시험 위한 첫 인간 대상자 모집

시계아이콘읽는 시간57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FDA 승인 넉달 만에 나온 공고
뇌에 심는 칩 안전성 확인 계획

일론 머스크의 뇌과학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사지가 마비된 인간의 뇌에 장치를 심어 생각만으로도 컴퓨터 등을 가동할 수 있게끔 하는 실험을 인간에게 하기 위해 19일(현지시간) 처음으로 대상자 모집에 나섰다.

'뇌에 칩 이식' 머스크 뉴럴링크, 임상시험 위한 첫 인간 대상자 모집
AD


뉴럴링크는 이날 회사 공식 블로그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지난 5월 미 식품의약청(FDA)이 인간에 대한 연구를 승인한 지 넉 달 만이다. 뉴럴링크는 FDA 승인을 바탕으로 병원들과 소통해왔고 한 병원에서 실험을 진행하기 위한 임상시험 대상자 모집 절차에 들어갔다고 설명했다. 또 독립적인 기관 검토 위원회의 승인도 받았다고 덧붙였다.


뉴럴링크가 인간을 대상으로 해당 실험을 하겠다고 대상자 모집을 시작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에는 원숭이 등 동물을 대상으로 먼저 실험을 진행했다.


이번 임상은 로봇을 이용, 운동 의도를 제어하는 뇌의 영역에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를 외과적으로 이식하는 방법으로 진행된다.


뉴럴링크는 이번 실험에 그동안 개발해왔던 세 가지 장치를 한꺼번에 투입할 예정이다. 실험 대상자의 뇌에서 이동 의지를 담당하는 영역에 탑재될 뇌 무선 신호 입출력을 담당하는 뉴럴링크 칩 'N1'과 N1을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수술용 로봇인 'R1', N1에 연결돼 뇌 신호를 컴퓨터 동작으로 변환하는 소프트웨어인 N1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앱)이다. 뉴럴링크는 세 부분의 안전성과 효능을 평가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를 통해 실험 대상자가 생각만으로 컴퓨터 커서나 키보드를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초기 목표로 한다고 뉴럴링크 측은 밝혔다.


임상시험 대상은 경추척수손상이나 근위축성측삭경화증(ALS·루게릭병)으로 인해 사지가 마비된 22세 이상의 성인으로, 지속해서 곁에서 지켜줄 간병인이 있어야 한다. 임상실험 종료까지는 총 6년이 소요될 전망이다.


다만 뉴럴링크는 얼마나 많은 임상 대상자를 선발할지는 구체적으로 알리지 않았다. 이식수술을 진행할 병원도 미공개 상태다. 전·현직 직원들에 따르면 뉴럴링크는 이전에 총 10명에게 BCI 이식하겠다는 계획이었으나, FDA가 안전성 문제를 제기한 뒤 임상 대상자를 몇 명으로 축소할지를 두고 논의를 진행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는 뉴럴링크를 통해 비만, 자폐증, 우울증, 조현병 등 질병 치료를 위한 컴퓨터 칩 이식 수술을 용이하게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BCI 장치를 사람에 사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입증되더라도, 뉴럴링크가 이에 대한 상업적 허가를 확보하는 데에는 10년 넘게 걸릴 것이라고 전망하기도 한다고 외신은 전했다.




정현진 기자 jhj48@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